Issue | 일자리 창출 은탑산업훈장 받은 디아이디의 이상한 고용 - <2010년>345명→<2013년 3월>6733명→<2014년 6월>941명 ‘고무줄 고용’
Issue | 일자리 창출 은탑산업훈장 받은 디아이디의 이상한 고용 - <2010년>345명→<2013년 3월>6733명→<2014년 6월>941명 ‘고무줄 고용’
![](/data/ecn/image/2021/02/24/ecn2039295025_NGn6Zwzx_1r.png)
1년 사이 중국 자회사 4500명, 한국 본사 1300명 줄어
![](/data/ecn/image/2021/02/24/ecn2039295025_caqtnMO3_2.png)
하지만 수상 소감과 당부는 공염불이 됐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10년 말 디아이디 직원수는 345명이다. 2013년 6월 반기 보고서에는 2232명으로 돼 있다. 디아이디가 은탑산업훈장을 받은 지 6개월 후 이 회사 직원은 933명으로 쪼그라들었다. 1년 사이 디아이디 천안공장에서만 1000명 가까이 퇴사했다.
좀 더 자세히 보면 디아이디의 고용 행태는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과 디아이디에 따르면 2013년 1분기 이 회사 직원은 6733명으로 늘었다. 전년 대비 10배 가까운 증가다. 6733명 중 5600명 정도는 중국에 있는 2개 자회사 소속 직원이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포상 전 이 회사 직원이 6000명을 넘었다는 것은 확인하지 못했는데, 디아이디에 확인해 보니 2013년 1분기 보고서에 실수로 중국 자회사 직원을 기입한 것”이라고 했다. 이 말대로라면 2013년 1분기 기준으로 디아이디의 국내 직원 수는 1265명이다. 그런데 2013년 6월 반기보고서를 보면 디아이디 직원은 2873명으로 3800명 넘게 줄었다. 태블릿PC 부품을 생산하는 천안공장과 본사 직원은 1877명으로 전 분기 대비 늘었지만, 중국 자회사 소속 직원이 대량 감원된 것이다. 이 회사는 이 보고서 이후로는 중국 직원을 아예 직원 현황에서 제외했다.
고용노동부 측은 “포상의 기준은 2010년 말 대비 2013년 8월 고용 변동이 기준이었다”고 했다. 노동부는 “각 지방청에서 조사해 기업을 추천하면, 기업이 공적 신청을 하고 노동부가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 등을 실사해 선정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해외 자회사는 서훈 사유와 상관없고 순전히 국내 고용 상황만 반영했다”고 말했다.
남의 나라에서 대량 감원은 말 그대로 남의 나라 얘기라고 치자. 그렇다면 디아이디의 국내 상황만 보자. 디아이디가 은탑산업훈장을 받기 직전인 2013년 6월 말 현재 국내 직원은 1877명. 2013년 말에는 2232명으로 증가했다. 70% 이상이 여성 생산직이었다. 노동부 서훈 사유를 보면 이 회사는 국내 90여 고교와 양해각서(MOU)를 맺고, 고교 졸업 예정자를 많이 채용했다. 2011년 280명, 2012년 559명, 2013년 8월까지 706명이다. 2년 8개월 동안 고졸 생산직 직원만 1545명을 뽑았다. 이 회사는 2012년에 남녀고용평등 대통령 표창도 받았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올 3월 기준 이 회사 국내 직원은 1797명이다. 전년 연말에 비해 450여명이 퇴사했다. 그리고 이후 석달 동안 다시 860명 넘게 회사를 떠났다. 그런데도 이 회사 임원은 2013년 4월 경 한 언론에서 “밀려드는 주문에 직원들이 쉴 수 없을 지경”이라는 인터뷰까지 했다. 정리하면, 일자리 창출 공로로 나라에서 훈장을 받은 지 불과 6개월 만에 1300명 가까운 국내 직원이 일터를 잃었고 4500명 넘는 중국 직원들이 감원됐다. 근속연수 역시 올 6월 말 기준 2.7년으로, 종사자 10인 이하의 국내 영세 제조업체 평균 근속연수 5.2년(중소기업청 2012년 말 조사 기준)에도 한참 못 미친다. 이에 대해 노동부측은 “2013년 8월 이후 감원 계획이나 업황 등까지 공적 심사에 반영하진 못했다”면서 “서훈 사유의 기준점으로 보면 문제는 없다”고 밝혔다.
수주 물량 늘면 대거 채용, 줄면 대량 감원
이 회사의 최근 사정이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디아이디는 그동안에도 실적 부침이 심했다. 2010년 매출은 5602억원, 영업이익은 194억원이었지만, 이듬해에는 매출 7485억원에 영업 손실이 203억원이었다. 2012년에는 매출 7963억원, 영업이익 200억원을 기록했지만, 2013년에는 매출이 1000억원 가까이 줄고, 영업 손실은 394억원에 달했다. 올상반기 매출은 1200억원으로 대폭 줄었고 151억원의 영업 손실을 봤다. 2012년까지만 해도 삼성디스플레이에 100% 공급하던 LCM(BLU·LCD모듈) 점유율이 30%대까지 떨어진 것이 직격탄이었다.
그렇다 해도 이 회사의 고용 행태는 문제가 많다. 고용은 업황과 기업의 현재·미래를 예측하고 진단해 합리적으로 해야 한다. 하지만 이 회사는 수주 물량이 많으면 확 뽑고, 줄면 대폭줄이는 행태를 보였다. 고용노동부의 다른 관계자는 “디스플레이나 반도체 업황 부침이 아무리 심하다 해도 이 회사의 고용에는 문제가 많다”며 “아무리 노동유연성이나 업황을 갖다 대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 은탑산업훈장이 라는 명예가 과연 적절한 것일까.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정비사업 고삐 죄는 삼성물산…그 이유는?
2‘저가’에 올라탄 LCC 승객들...“불안감 안고 떠난다”
3‘면발로 그린 32년’ 면사랑, 이제 음식 넘어 문화 만든다
4정세장 면사랑 대표, ‘한 그릇의 완성’을 위한 길
5시공능력 평가 11년째 1위 자리 고수 중인 삼성물산
6견고한 ‘악순환 고리’... ‘LCC 치킨 게임’의 부작용
7KB증권 'IPO 수장' 유승창 본부장,…"올해도 1위 목표"
8사고에도 ‘흔들림’ 없는 LCC...계속되는 ‘불안한’ 이륙
9배우 김새론, 서울 성동구 자택서 사망…향년 25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