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박보미의 ‘도시 미술 산책’⑩ 윤명로 ‘바람 부는 날 MIX 1112’ - 바람 같은 붓질이 남긴 생명의 호흡
- 박보미의 ‘도시 미술 산책’⑩ 윤명로 ‘바람 부는 날 MIX 1112’ - 바람 같은 붓질이 남긴 생명의 호흡

보이지 않지만 보이는 그 바람을 서울 소공로 웨스틴 조선호텔 로비에서도 만났다. 웨스틴조선호텔은 아담한 편이지만 미술작품이 많다. 화장실 입구부터, 복도, 변기가 들어앉은 칸칸의 벽면에도 자그마한 판화작품이 걸려있어 눈이 즐겁다. 로비 벽면마다 촘촘하게 들어찬 작품이 각기 뿜어내는 기운이 만만치가 않다. 그중 하나가 윤명로 작가의 ‘바람 부는 날’이다. 이 작품은 호텔 로비에서 모퉁이로 돌아서면 뒤편 조금 한적한 벽면에 걸려있다. 감상을 강요하지 않는 듯한, 벽에 스며든 듯 온화한 색감의 그림이다. 습관처럼 얕게 들이쉬던 숨통이 비로소 편안하게 트이는 것 같다.
예상외로 많은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에 제목 붙이기를 어려워한다. 구체적인 제목이 보는 이의 감상을 한정 짓게 될까봐 우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통 아무런 정보가 없는 관람자 입장에서는 제목이 매우 중요한 단서다. 특히 추상화인 경우 대부분 얼른 제목부터 들여다보게 된다. 큐레이터들은 종종 ‘상상력이 제한되니 제목을 보지 말고, 먼저 그림부터 감상하라’라고 조언하지만, 힌트가 있으면 눈길이 가는 게 사람 심리다. 막막한 마음에 제목에 슬쩍 눈길을 줘봤는데 ‘무제’라면 더 난감하다. 괜스레 작품이 더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바람이 부르는 자유로운 심상
시기상 ‘바람 부는 날’은 겸재예찬 시리즈 이후의 작품이지만, 왠지 ‘바람 부는 날’은 ‘바람 부는 날의 산’을 그린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흘러내리듯 요동치듯 자유로운 붓질이 인왕산의 멋진 바위나 구름에 둘러싸인 나무를 그린 것 같다. 공기에서는 막 삶은 가제 손수건의 수증기 냄새마저 난다. 마음을 가라앉게 하면서 동시에 슬며시 설레는, 생기 넘치는 산바람 냄새.
이제 황혼의 나이가 된 그는 살아있는 ‘숨결’의 귀함에 주목한다, 살아있는 이 순간에 대해 생각하고, 보이지 않지만 분명 존재하는 생기·숨·바람을 작품으로 옮겼다. 지금 여기 존재하는 나의 생이란 무엇인지. 당연한 사실이기도 하지만, 그는 들고나는 ‘숨’이 있기에 이 세상의 모든 바람도 나무도 꽃향기도 이렇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새삼스레 깨달았다고 했다.
살다 보면 가끔 숨이 찬 줄도 모르고 있을 때가 있다. 나도 모르게 긴장해서 어깨가 딱딱해지고, 가끔은 종일 깊이 숨 쉬는 것도 잊는다. 윤명로 작가는 그림을 그릴 때 인간적인 욕심을 모두 버리고 화면 앞에 선다고 말한다. 의지와 욕망이 섞인 채 붓을 들면 한 치도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을 여러 번 경험한 그는 호흡의 귀함과 소중함을 인생 후반부의 작품 속에 경건하게 불어넣었다.
보는 사람의 욕심일 수도 있겠지만, 웨스틴조선호텔의 반들반들한 아크릴 액자는 ‘바람 부는 날’과는 아무래도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이 습습한 공기의 결을 그대로 드러내는 캔버스를 직접 마주할 수 있었으면 참 좋았을 텐데. 보존의 문제일 것이니 어쩔 수 없었을 테지만, 그래도 이 액자의 투명한 플라스틱판은 그림을 덮어 관객의 숨과 그림 속의 바람이 섞이는 걸 차단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 세상처럼 어딘가 몽롱한 저 바람 부는 세상. 매끌매끌한 액자의 표면 왼편으로 도시의 하늘색이 생경하게 반사된다. 빌딩과 나무들, 도시의 풍경이 그림에 겹쳐진다. 우연처럼, 우리가 사는 세계와 바람 부는 산수화가 그렇게 섞이고 있다. 그림 앞에 선다. 겉으로는 고요한 척하고 있지만 시시각각 요동치는 내 마음의 풍경이 보인다. 그림 속 자유롭고 싱싱한 저 공기가 굳은 내 속으로 생기의 바람을 불어넣어 주는 장면을 상상하며 느릿한 심호흡을 들이켜 본다.

1914년 설립된 국내 최초 근대식 호텔인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은 국내 외 유명 작가들의 작품 50여 점을 로비, 연회장 등 호텔 곳곳에 전시중이다. 윤명로 작가의 ‘바람 부는 날’은 호텔 로비층으로 들어와 로비 우측에 위치한 저층으로 내려가는 계단 방향으로 가다 보면, 창가 옆에 자리 잡고 있다.박보미 - 문화예술 기업 ‘봄봄(vomvom)’ 디렉터. 홍익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국제디자인대학교대학원(IDAS)에서 미디어디자인을 공부했다. 영화미술, 전시기획, 큐레이팅, 미술칼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트디렉터로 활동 중이다. bomi1020@gmail.com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한 푼도 없어”…계좌 공개 하루 만에 400만원 ‘훌쩍’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54세 늦둥이' 박수홍 "오래오래 살아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사…첫 여성 병무청장 포함 ‘실무형 전면 배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무상증자’ 현대바이오 상한가, FDA 허가 신청에 HLB생명과학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