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한국 수입차 시장 20년의 명암] 파상공세로 국산차 아성에 도전
- [한국 수입차 시장 20년의 명암] 파상공세로 국산차 아성에 도전

summary | 올해 수입차 판매량은 2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1996년 1만대 판매 돌파 후, 20배 수준으로 성장했다. 수입차의 선전은 국내 자동차 업계 발전에 자극제가 됐다. 하지만 부실한 AS, 탈세 수단으로의 악용 등 문제도 많다. 최근에는 폴크스바겐 디젤 게이트로 몸살을 앓고 있다. 수입차가 이런 위기를 극복하고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올해 국내 시장의 수입차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20% 늘어난 23만5000대 정도다. 역대 최다 판매량이다. 2016년에는 25만대가 팔릴 것으로 기대한다. 올해와 비교하면 증가율은 낮지만 그만큼 내실을 다지는 한 해가 될 것이다.” 윤대성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전무의 기대 섞인 말이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는 11월 25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20주년을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국내 수입차 시장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문제점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정재희 한국수입자동차협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윤대성 전무가 수입차 시장의 전반적인 내용을 브리핑했다. 급격하게 성장한 수입차 시장을 이야기할 때는 자부심이 넘쳤고, 내년을 전망할 때는 자신감을 보였다. 올해 수입차 시장은 또 한번 도약했다. 역대 최다 판매 기록을 갈아치우며 무서운 기세로 성장했다. 10월까지 총 19만6543대의 수입차가 팔렸다. 이미 지난해 전체 판매량(19만6359대)을 넘어선 수치다. 수입차 시장이 지금처럼 성장하기까지는 1995년 설립된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의 역할이 컸다. 현재 14개 회사의 25개 수입차 브랜드가 협회에 등록돼 국내 시장에서 활약 중이다.

수입차 오너가 세무조사 대상 되기도

수입차 시장에 다시 훈풍이 불기 시작한 것은 1995년에 접어 들어서다. 국산차 판매가 100만대를 넘어서면서 국내 자동차 시장에 대한 통상 압력이 거세졌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에 육박했던 수입차 관세를 8%로 낮췄다. 7000만원 초과 자동차의 취득세도 15%에서 2%로 낮췄다. 같은 해 9월에는 한·미 자동차 협상이 타결돼 특소세와 자동차세도 인하됐다. 이는 수입차 판매의 증가로 이어졌다. 1995년 수입차 판매량이 연간 6000대를 넘어섰고, 1996년에는 수입차 판매 1만대 시대가 열렸다. 수입차 브랜드의 국내 시장 진출이 본격화된 것도 이때다. 1995년 BMW와 크라이슬러·포드가 국내 법인을 설립했다. 해외 브랜드가 직접 시장 진출을 노릴 만큼 규모를 갖추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수입차 선전에 자극받은 국산차 경쟁력도 높아져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수입차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한 2002년, 시장에는 뜻밖의 강자가 등장했다. 도요타의 고급차 브랜드 렉서스다. 렉서스는 럭셔리 세단 ES 시리즈를 앞세워 시장을 장악했다. 2002년 혜성처럼 등장해 수입차 최초로 단일모델 1000대 판매를 돌파했다. 기세는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2004~2006년 3년 연속으로 수입차 시장 1위를 차지했다. 당시 렉서스 ES가 선보인 부드러운 승차감과 정숙성은 경쟁 모델을 압도하는 수준이었다. 일본 특유의 섬세함으로 고급스러운 차를 만든데다 ‘일본차는 잔고장이 없다’는 인식까지 퍼지며 승승장구했다. 메스세데스-벤츠와 BMW가 7000만~8000만원에 팔릴 때, 렉서스 ES는 5000만~6000만원으로 저렴(?)하기까지 했다. 흠잡을 때 없는 품질에 가격 경쟁력까지 갖췄으니 잘 나갈 수밖에 없었다.
미국차→일본차→독일차로 패권 이동

2009년부터 본격적인 독일 브랜드 자동차 시대가 열렸다. 메르세데스-벤츠, BMW, 폴크스바겐이 베스트셀링카 상위권을 휩쓸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가 E300을 앞세워 2010년과 2011년 수입차 시장 1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BMW가 520d 모델로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2014년에는 폴크스바겐 티구안이 베스트셀링카 1위에 올랐다. 티구안은 올 10월까지 집계에서도 1위를 달리고 있어, 올해도 1위 등극이 유력하다.
독일차의 약진에서 눈여겨볼 모델은 BMW 520d다. 디젤 엔진을 장착하고 판매 1위를 달성한 첫 모델이다. 이전까지는 배기량이 높고, 정숙한 주행감을 뽐내는 모델의 인기가 좋았다. 하지만 강력한 토크로 압도적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독일산 디젤 자동차가 시장에 등장하면서 새로운 분위기가 형성됐다. 디젤차는 ‘털털거리는 달구지 소리가 나는 차’라는 편견을 깬 차가 520d다. 수입차 시장에서 디젤차 선호도가 높아진 시기와도 맞물린다. 2012년은 수입차 시장에서 디젤차 판매량이 가솔린차 판매량을 처음으로 앞지른 시기다. 2014년에는 디젤차 점유율이 67.8%로 올라갔다.
‘소형·SUV·디젤·독일’ 유지될까

2010년 이후 수입차 시장을 장학한 BMW 520d와 티구안에게 악재가 생겼다. 폴크스바겐의 배기가스 조작 사건으로 독일 디젤차의 인기가 급감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교적 최근 일이라 아직 판매량에는 사건의 여파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2015년 디젤차 점유율도 2014년보다 오히려 늘었다. 본격적인 디젤차 판매의 흐름은 2016년에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내년, 또 그 이후에는 어떤 자동차 브랜드가 수입차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킬지 관심을 모은다.
- 박성민 기자 park.sungmin1@joins.com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울고 보채서 화났다”…생후 2개월 딸 던져 중태 입힌 아빠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신지♥' 문원, 칼 빼들었다…"악성 루머 고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빈손' 트럼프·푸틴 회담, 준비된 오찬도 '생략' 마무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원조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몸값 ‘2000억원’ 찍은 이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구독하면 200만원 주식 선물', 팜이데일리 8월 행사 시작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