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혜택 많은 아파트 살 만할까] 계약금만 내면 준공까지 돈 걱정 없어
[금융 혜택 많은 아파트 살 만할까] 계약금만 내면 준공까지 돈 걱정 없어

중도금 무이자에 무료 옵션까지
주택 수요자가 가장 선호하는 혜택은 중도금 무이자다. 분양 업체가 중도금 대출 이자를 지원한다. 계약자 입장에선 계약금만 내면 입주 때까지 별다른 자금이 들지 않는다. 대출이자를 분양 업체가 대신 내기 때문이 사실상 가격 할인 효과가 있다. 우미건설이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에 분양하는 안성 공도 우미린 더퍼스트가 대표적이다. 회사는 분양가의 70%인 중도금 이자를 내준다. 계약자는 준공까지 계약금(10%)만 내면 된다. 예컨대 59㎡형은 초기 계약금 500만원과 한달 후 내야 하는 1500만원까지 2000만원만 있으면 준공까지 추가 자금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 아파트는 59~84㎡ 1358가구로 이뤄진다. 평택·안성시청이 가깝고 공도초·중, 경기창조고가 가까워 걸어서 통학할 수 있다.
경기도 평택시 소사벌지구 소사벌 더샵도 중도금 이자를 내지 않아도 된다. 계약금은 2번에 나눠서 낼 수 있다. 경북도청 신도시 동일스위트(77~84㎡ 1499가구)도 중도금(60%) 무이자 혜택이 있다. 단지 안에 헬스장·골프연습장·사우나 등이 있는 6000㎡ 크기의 대규모 커뮤니티가 갖춰진다.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지만 대형 드레스룸과 팬트리, 가변형 벽체가 있는 설계가 적용된다. 현대건설이 광주 광산구 쌍암동에 분양하는 힐스테이트 리버파크도 중도금 이자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집 안에서 영산강을 감상할 수 있는 아파트다. 74~178㎡ 1111가구로 이뤄진다.
이외에도 서울 성북구 길음뉴타운 롯데캐슬 골든힐스(59~84㎡ 399가구), 경기도 양주신도시 옥정지구 양주신도시 리젠시빌 란트(53~56㎡ 514가구)가 중도금 무이자 혜택이 있다. 이들 단지는 각각 경전철 우이신설선 정릉삼거리역(가칭), 지하철 7호선 연장선이 개통 예정이라 교통 호재가 있다.
중도금 이자 후불제도 있다. 잔금을 낼 때 그동안의 이자를 한꺼번에 내야 해 가격 할인 효과는 없지만 준공까지 2~3년간 자금 부담이 없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지구 힐스테이트 진건은 중도금(분양가의 60%) 이자후불제가 적용된다. 66~84㎡ 1283가구 규모다. 2022년 8호선 연장선 다산역이 개통하면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서울 양천구 목동 롯데캐슬 마에스트로(59~101㎡, 410가구)도 중도금 이자 후불제 단지다. 9호선 등촌역, 급행정거장 염창역을 이용할 수 있다.
앞으로 이런 아파트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 분양이나 사업자금, 중도금 대출 등을 보증하는 주택도시보증공사가 관련 보증 심사를 강화하겠다고 나섰기 때문이다. 특히 중도금 무이자 혜택을 제공하는 단지에 대한 내부 보증 기준도 강화된다. 건설 업계 관계자는 “업체가 중도금 이자를 대신 내니 사실상 해당 주택사업을 통한 이윤이 줄어드는 것이고 이런 혜택을 내걸 만큼 분양성이 떨어진다는 의미도 있어 더 꼼꼼히 따져보겠다는 것”이라며 “금융 혜택이 있는 단지 희소성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새 아파트를 분양 받을 계획이라면 해당 지역의 수급 상황을 살펴봐야 한다. 역대 최고 수준의 대규모 신규 분양물량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상반기 18만4000여 가구가 분양했거나 분양 예정이다. 이 업체가 조사를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많고 역대 최고였던 지난해 상반기보다 22% 증가했다. 분양물량이 역대 최저였던 2009년 상반기(3만 여 가구)의 6배 수준이다. 대출 규제 여파, 제20대 총선 등을 피해 기다리던 물량이 4월 이후 쏟아진 영향이다. 이들 물량이 입주하는 2~3년 후 입주폭탄이 터질 수 있다. 2018년 이후 아파트 입주가 크게 늘어난다는 의미다. 자칫 가격 하락, 공실(빈방) 증가 등의 낭패를 겪을 수 있다. 예컨대 분양가 상한제를 앞두고 2007년 이른바 밀어내기 분양이 이뤄졌고 이 때 쏟아진 아파트가 본격적인 입주를 시작한 2009년 하반기 이후 전국적으로 미분양 아파트가 쌓이며 주택시장이 곤욕을 치렀다.
대규모 물량이 쏟아지며 경쟁이 치열해지자 지나친 홍보 경쟁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가장 흔한 것이 과장 광고다. 특히 택지지구 내 새 아파트 광고에서 자주 눈에 띄는 문구가 ‘사실상 신도시 마지막 아파’다. 정부가 2014년 공공택지 공급과잉 등을 이유로 택지지구 개발을 잠정 중단(택지개발촉진법 폐지)하겠다고 나서면서 등장했다. 하지만 택지개발촉진법 폐지안은 국회 계류 중이라 아직 그대로 남아있다.
광고 믿지 말고 반드시 현장 살펴야
금융 혜택을 제공하는 아파트는 가격 할인 효과가 있어 매력적이지만 입지나 상품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혜택이 큰 만큼 분양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분양전문업체 관계자는 “인기 단지라면 어차피 분양이 잘 되기 때문에 업체들이 이윤을 줄여가며 금융 혜택을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출범 3년간 성장 입지 다진 넥슨게임즈, 신작 투자로 글로벌 도약 노린다
211비트 스튜디오, 미스터리 SF 어드벤처 ‘디 얼터스’ 6월 13일 출시
3라인게임즈, 신작 타이틀 ‘엠버 앤 블레이드’ 최초 공개
4“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
5매운맛 열풍 때문에...단종 제품 다시 나온다
6"팬들 제보 모여 범인 잡았다"...하이브 아티스트 딥페이크 피의자 8명 검거
7‘강남스타일’에서 ‘금융스타일’로…iM금융, 싸이 광고 온에어
8부동산원, ‘당근마켓’ 허위매물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
9닌텐도·소니, 美 관세 인상에 콘솔 가격 ‘인상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