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툰·웹소설·OTT 플랫폼 줄줄이 성과 부진
업계선 “콘텐트 안 챙기니 실패 반복” 목소리
그런데 업계에선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와요. “웹툰이 뜨면 급하게 웹툰 플랫폼을 만들고, 웹소설이 뜰 때는 급하게 웹소설 플랫폼을 만드는 식”이라는 이야기인데요.
왜 이런 이야기가 나올까요?
사실 그동안 KT에서 선보인 콘텐트 플랫폼들은 하나같이 성적이 좋지 못했거든요. 웹툰을 맡은 ‘케이툰’, 웹소설을 맡은 ‘블라이스’, 그리고 OTT를 표방한 ‘시즌’이 그랬죠.
2016년 출시된 케이툰. 혹시 이름 아시는 분 있나요? 있다면 1000명 중 단 6명에 해당하는 분입니다. 케이툰의 페이지뷰(PV) 점유율은 0.6%에 그쳤어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2019년 조사한 데이터예요. 네이버웹툰(65.1%)이나 카카오페이지(15.6%)와 비교하면 크게 떨어지죠.
KT가 2018년 만든 웹소설 플랫폼 블라이스는 어떨까요. 역시 한국콘텐츠진흥원이 KT의 ‘뼈’를 때리는데요. 이곳에서 웹소설 이용자 200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했더니 블라이스의 점유율은 0.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쯤 되면 OTT 플랫폼 ‘시즌’은 말할 것도 없겠죠. 한 시장조사 기관에 따르면, 지난 2월 시즌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168만명이었어요. 웨이브(395만명)나 티빙(265만명) 등 국내 경쟁사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에요.
새로운 포맷의 콘텐트가 나올 때마다 열심히 참여하고는 있는데…. 이제 참가상은 졸업해야 하지 않을까요? 성과 없는 KT의 콘텐트 사업, 이코노미스트가 살펴봤습니다.
원태영 기자 won.taeyoung@joongang.co.kr
영상제작 이현정 인턴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옥석 가리는 AI의료]빈준길 뉴로핏 대표 "뇌 AI 영상진단 경제적 해자 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성시경, 14년간 소속사 미등록 운영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500 바라보는 코스피…‘8만전자’ 달성도 초읽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진환 바이오플러스 대표 “분자량 한계 깬 ‘휴그로’…화장품부터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