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톡톡] '선택 아닌 필수'라던 여행자보험, 가입률 왜 낮을까
백신 접종 분위기에 여행 수요 늘며 관련 보험 관심 UP
여행자보험 가입률은 11.9% 불과… 낮은 인식도 때문?
금융당국, 실질적 혜택 보장 되도록 여행자보험 개정 움직임

하지만 그동안 내국인의 여행자보험 가입률은 10% 수준에 그쳤다. 저렴한 보험료와 모바일 간편 가입 등 보험사들의 여행자보험 서비스는 확충되는 분위기지만 가입률은 여전히 저조한 편이다. 이유는 무엇일까.
성장세 이어온 여행자보험
코로나19 발병 전인 2019년까지, 해외 및 국내여행이 대중화되면서 여행자보험은 꾸준히 성장세를 보여왔다.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내국인의 해외 및 국내 여행자수는 2014년 5414만명에서 2019년 7055만명을 기록했다. 특히 같은 기간 해외여행자수는 1608만명에서 2871만명으로 두배가량 증가했다. 이 시기 여행자보험은 여행자수 증가와 맞물려 연 평균 12%의 성장률을 보였다. 2019년에는 가입자수가 700만명을 넘어섰다.

여행수요가 늘면서 보험사들은 앞다퉈 여행자보험 출시에 열을 올렸다. 특히 보험사들이 판매 중인 여행자보험의 보험료는 여행기간이나 나이 등의 요인으로 달라질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보험수퍼마켓 보험다모아에 따르면 상해사망 및 후유장해(1억원), 질병사망 및 후유장해(1000만원), 휴대품손해(20만원), 배상책임(500만원) 등을 보장하는 여행자보험 보험료(30세 남성 기준)는 일 3960~9840원 수준으로 1만원 이하 금액으로 가입이 가능하다. 물론 여행기간이 늘어나고 담보금액을 상향하면 보험료는 1만원 이상으로 뛴다.
가입도 쉽다. 여행을 떠나기 전 모바일, 공항 등에서 5분이면 가입이 가능하다. 내가 필요할 때만 '켰다 껐다' 스위치를 켜듯 보험을 적용받는 여행자보험도 출시됐다. 여행자의 의지만 있다면 여행자보험에 가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닌 셈이다.
100명 중 12명 가입, 여행보험 가입률 왜 저조할까
그럼에도 전체 여행자수 대비 가입률은 저조한 실정이다. 2019년 기준, 국내 여행자보험 가입률은 영국 75%, 미국 34% 대비 11.9%로 저조한 수준이다. 국내 여행자 100명 중 12명 정도만 여행자보험에 가입한다는 얘기다.
보험업계에서는 낮은 가입률에 대해 여전히 여행자들이 '보험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라고 설명한다. ‘짧은 여행 기간 중 설마 무슨 일이 있겠어’라는 생각으로 보험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울러 대가족여행이나 장기여행 등의 경우 보험료가 10만원대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어 경제적인 부담에 여행자보험 가입을 포기하는 사례도 있다.
손보사 관계자는 "여행자보험은 본인이 여행 중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수요가 높아질 수 있다. 예컨대 과거 여행 때 질병으로 현지에서 고액의 치료비를 납부했거나 휴대폰을 잃어버린 전례가 있다면 다음 여행 때 여행자보험에 가입하는 식"이라며 "실제로 여행자들이 이런 일을 겪을 확률이 높지는 않다보니 여행자보험에 대한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가입까지는 이어지지 않는 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국내 여행자보험 상품의 손해율은 40~60% 수준이다. 100원의 보험료를 받으면 40~60원 정도의 보험금이 나간다는 얘기다. 여행자보험 가입건수 대비 사고건수가 많지 않은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기존 여행자보험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는 지적도 있다. 대부분 여행 전 급하게 가입하다보니 상품 약관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가입해 정작 보험금 청구시 분쟁이 발생한다는 얘기다.
예컨대 패키지여행이나 환전 등 여행 관련 서비스에 부수적으로 제공된 여행자보험(결합해외여행자보험)은 보장 내용이 매우 단순한 편이다. 이런 상품은 해외 질병의료비를 미보장하거나 보장금액도 몇십만원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험이 쌓인 보험소비자들은 여행자보험 자체에 대한 불신이 커질 수 있다.
최근 금융당국이 보다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여행자보험 상품 약관 개정에 나선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은 '해외병원 14일 이상 입원 시 이송비(운임·후송비) 등 보험료 지급 약관 수정 및 치료, 이송비 보장 한도를 높이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업계와 개선 방안을 마련해 업계가 자율적으로 상품 약관을 바꾸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위메이드 신작 ‘레전드오브이미르’ 출격…이름값 할까
2재건축 시공사 선정도 '빈익빈 부익부' 양극화 심화
3혼다·닛산 합병 불씨 왜 남았나?…스텔란티스 보면 안다
4“싸게, 더 싸게”...중국風이 빚은 ‘철의 만리장성’
5혼다·닛산 각자도생...글로벌 자동차 업계 '파급효과'는?
6AI 세금 신고 앱 ‘쎔’ “3년 내 1000만 누적 이용자 목표”
7‘알리·테무’ 중국산 이커머스 韓 침공 본격화…‘쿠팡 대항마’ 될까
8높아진 상장폐지 기준 속 IPO 시장 위축…상장예심 철회 기업 급증
9국세청도 참전…‘年 10조원’ 세무환급시장, 어디까지 커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