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콧대 높던’ 이케아 배송료, 4만9000원에서 8000원 된 사연
- 2014년 국내 출점 후…‘배송료 이중부담’ 논란 계속
8월 초부터 새 배송요금 적용…최대 4만1000원 싸게
치열해진 경쟁 속 소비자 정서 뒤늦게 반영됐단 분석

배보다 큰 배송료 논란…7년 뒤 적용, 왜?
새 배송 요금은 택배의 경우 각각 3000원, 5000원, 8000원 단계별 요금이 적용된다. 기존 가구배송에만 적용됐던 제품 일부는 규격 사이즈와 무게가 확대되면서 택배 요금 적용이 가능해졌다. 4만9000원이었던 배송요금을 8000원만 내고 받을 수 있게 된 것. 말비크(MALVIK) 폼매트리스, 후가드(HUGAD) 커튼봉 등 부피가 큰 일부 가구 제품들이 대표적이다.
이 제품들은 택배 가능 제품의 가로 길이가 기존 100cm 에서 140cm로 확대되면서 8000원 배송이 가능해졌다. 또 비교적 크기가 작은 릴나겐 유리 닦이, 오뷔온 바디퍼프 등 소품류는 3000원으로 가격이 인하됐다. 소비자들이 보다 합리적 비용으로 온라인 쇼핑을 즐길 수 있게 됐다는 게 이케아코리아측 설명이다.
이케아코리아는 국내 출점이후 계속해서 배송료 ‘이중부담’에 시달려왔다. 가격은 싸지만 조립과 배송비를 합치면 싸지만은 않다는 게 소비자들이 내놓은 공통적인 불편 코드다. “배보다 큰 배송료” 논란에도 꿈쩍도 하지 않던 이케아코리아가 움직이기 시작한 것은 올해부터다.
지난 4월 작은 물품에도 일괄적으로 제공되던 5만9000원의 배송료를 인하한 게 시초다. 지난 7월부터는 온라인 스토어 배송 요금 할인 행사도 진행 중이다. 행사 기간 동안 50만원 이상 구매 시 가구 배송 요금을 2만9000원으로 할인 받을 수 있는 이벤트. 기간은 8월 20일까지다.

가구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온라인 홈퍼니싱 시장이 성장 중인데 이케아코리아는 배송비가 붙어 비싸다는 인식이 워낙 강하다보니 생각보다 장사가 안됐던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동안 불공정 배송정책, 부당약관 등 논란이 계속됐는데 외국계 기업이라 그런지 고객 의견 반영은 늦은 감이 있다”고 꼬집었다.
이케아코리아 관계자는 “소비자 피드백을 계속해서 파악해 오던 중 시스템적으로 이제야 반영이 가능해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서비스나 배송 등의 가격이 낮아지면서 다양한 선택지 마련이 가능해졌다”면서 “앞으로 이런 부분의 (혜택들로) 고객에게 접근해 나갈 것”고 설명했다.
김설아 기자 kim.seolah@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李 유죄취지 판결' 선거법 조항 폐지 법안, 법사위 통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수홍, 가족사진 공개..'37㎏↑'♥김다예 눈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부동산 고사 직전, 양도세 확 낮추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삼천당 주가 띄운 S-PASS 원천기술, 5년 전 이미 “진보성 없다” 결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