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빅테크 기업이 노리는 디지털 인증 시장, 국민지원금 덕에 웃을까
- 지난해 말 폐지된 공인인증서 법적 지위, 국내 기술 기업 경쟁 중
코로나19 언택트 문화에 신원 증명 요구 필수… 2~3개 서비스가 선점할 듯

지원금은 지자체와 신용카드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3사가 운영하는 인증 서비스 ‘패스(PASS)’를 거치면 간단히 신원을 증명할 수 있다. 지원금 관련 알림을 전해주는 행정안전부의 ‘국민비서’는 카카오나 네이버의 인증 서비스를 각각 활용하면 된다.
민간 기업의 인증 서비스는 말 많고 탈 많던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면서 존재감이 드러났다. 공인인증서의 독점적 지위를 없애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지난해 말 시행된 이후, 다양한 업체가 마케팅 공세를 벌였다.
발급과 관리의 불편함 때문에 애물단지 취급을 받던 공인인증서와 달리 이들이 내놓은 인증서는 발급·사용 절차가 간편했다. 이 시장에 뛰어든 이들이 이동통신 3사, 네이버, 카카오, NHN 등 기술 기업 일색이다. 기술 기업이 인증 시장에 진출해 노리는 건 새 수익원이었다. 인증은 결국 각종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첫 번째 관문인데, 이 플랫폼에 고객을 끌어들이면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공략의 성과는 있었다. 이동통신 3사가 운영하는 인증 서비스 ‘패스(PASS)’ 가입자는 얼마 전 3500만명을 돌파했다. 토스인증서 발급자는 2300만명을 돌파했고, 카카오페이와 카카오톡 지갑, 네이버 등의 인증 규모 역시 각각 1000만명이 넘는다.
여러 서비스가 동시에 집객에 성공했다는 건 그만큼 시장 규모가 커졌다는 얘기지만, 동시에 이 시장을 압도적으로 선점한 사업자가 등장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들 서비스가 범용성에 뚜렷한 한계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정부로부터 독점적인 지위를 받은 공인인증서가 대부분의 공공·금융 서비스에 적용됐던 것과 달리 민간의 인증서는 제휴처가 제각각이다 보니 여러 개의 인증서에 가입해야 하는 형편이다.
다만 업계는 코로나19가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비대면 사회에선 얼굴을 마주하기 어려운 만큼 디지털로 신원을 증명해야 하는 일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어서다. 전자출입명부 서비스 덕분에 QR코드가 국민 일상 속에 자리 잡았듯, 민간의 디지털 인증 서비스의 쓰임새도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은 ‘대목’이나 마찬가지다. 사실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현금을 쥐여주는 만큼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고객 입장에선 비슷한 기능의 여러 인증 서비스가 시장에 나와 있는 만큼, 한 번이라도 써보고 익숙해진 인증 서비스에 몰리기 마련이다.
IT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 대부분이 무료로 기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인증 서비스 그 자체로 돈벌이가 크진 않지만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다른 결제 서비스로 유인할 수 있어 IT 기업에 매우 중요한 산업”이라면서 “향후엔 자주 쓰는 인증서 2~3개 위주로 옥석 가리기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치열한 경쟁이 예고된다”고 설명했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