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교육 시장 스며든 메타버스…교육·금융·건설 산업에서 활용 늘어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메타버스에서 공부해요”
은행은 메타버스 ‘금융교육’, 건설·조선은 VR ‘안전교육’
“부정이슈 방지할 법·제도와 사회적 합의 도출해야”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선생님과 ‘메타버스’서 만나
비대면 교육의 문제점을 메타버스로 돌파한 기업도 있다. 에듀테크 스타트업 마블러스 이야기다. 마블러스는 유치원·초등학생의 표정을 파악해 적절한 학습 도구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MOON’을 개발했다. 학생은 이 플랫폼에서 가상 캐릭터를 꾸민 뒤 3D 가상교실에 입장해 다른 사용자와 대화하거나 함께 게임을 할 수 있다. ‘MOON’에는 학습 카메라와 마이크로 사용자의 표정, 억양, 감정, 몸동작을 수집해 감정을 분석하는 인공지능(AI) 기술 ‘MEE(MARVRUS Emotion Engine)’도 적용됐다.

은행·건설·조선업계 메타버스 이용해 다양한 교육 실시
하나은행도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에서 20~30대에게 자동차 구매 방법을 지난 8월 강의했다. 신입 직원 교육을 비롯한 내부 행사는 물론 회사 밖 청중을 상대로 한 행사에도 메타버스를 활용했다. 이번 콘텐트는 ‘첫차 구매 상식’을 비롯해 ‘미리 보는 근로소득 및 절세방법’, ‘부린이(부동산+어린이)를 위한 주거 지원 혜택’ 등 20~30대가 생애주기에 따라 관심 있을 주제로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강의 또한 사람이 아닌 아바타 은행원이 등장해 참여자와 소통했다.
건설업과 조선업 등 전통산업도 메타버스 교육에 눈을 돌렸다.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등 XR 기술을 활용해 직원에게 안전교육을 할 수 있어서다. 건설사는 현장에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VR 기술을 기반으로 한 훈련을 활용하고 있다. 코오롱베니트는 국내 VR 전문기업 엠라인스튜디오와 협력해 건설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VR산업안전교육’을 개발했다. 한화건설은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설 근로자 교육 때 VR 기기로 위험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현장 도장 작업을 3차원 가상공간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도장VR 교육훈련 시스템’을 개발해 거제 조선소에 지난해 적용했다.
정부 중심 메타버스 사업 추진 박차…“메타버스 시대 문제점도 고민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5월 ‘메타버스 얼라이언스’를 출범하고 정부의 디지털 뉴딜 사업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동통신 3사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지상파 3사, 네이버랩스, 현대차, CJ ENM 등이 이번 협의체에 합류했다. 이들 기업은 메타버스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기기·프로그램 개발, 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중소벤처기업부도 지난 2월 경기도 판교에 ‘5G 밀리미터파(28G㎐) 테스트베드’를 구축했다. 스타트업이 AR, VR 콘텐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올해 '비대면 분야 유망 스타트업 육성사업'을 추진, 유망 창업기업 400개를 선정해 총 6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메타버스가 교육산업과 활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 에듀테크 기업 관계자는 “게임을 비롯한 여러 도구를 활용해 아이들의 학습 집중도를 높이곤 하는데, 서비스를 실제 이용한 학부모 중 일부가 ‘공부가 게임이 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지 않냐’는 우려를 표할 때가 있다”며 “아이들이 학습에 흥미를 잃어버리지 않는 선에서 교육에 메타버스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한상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새로운 기술이 메타버스에 구현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이슈를 방지할 법·제도 및 사회적 합의를 하고, 공익적인 활용을 늘릴 수 있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선모은 인턴기자 seon.mo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2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3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4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5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6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7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8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9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