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SK, 수소 밸류체인 구축에 18.5조 투자...2025년 세계 1위 도약
- 수소 생산-유통-공급 밸류체인 통합 운영해 국내 수소 시장 진출
세계 파트너십 체결, 핵심 기술 확보…해외 시장 공략도

8일 국내 수소 관련 대표 민간기업 협의체인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출범 총회에서 공동의장사인 SK는 수소사업 추진 전략과 미래 수소 생태계 구축 방안 등을 발표했다.
SK그룹은 15개 회원사 중에서 18조5000억원 규모로 가장 큰 투자 계획을 내놓았다. 오는 2025년까지 수소 생산, 유통, 공급까지 수소 밸류체인의 모든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자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2025년까지 SK그룹 차원에서 30조원의 순자산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SK는 그룹 인프라를 활용해 수소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해 국내 수소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수소 생산, 유통, 공급에 이르는 밸류체인 통합 운영 방식으로 사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수소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기술회사 투자를 단행하고 파트너십을 통해 세계 시장도 공략할 계획이다.
국내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SK E&S는 약 5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3만톤(t) 생산체제를 확립하기로 했다. SK E&S는 천연가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을 세웠다.
SK그룹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 생산사업에도 나설 방침이다. 국내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해 세계 1위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다.
수소사업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수소 시장 공략에도 나선다. SK그룹은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와 세계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해외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할 방침이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SK그룹은 글로벌 수소 시장 선도 기업 플러그파워의 최대주주 지위를 올해 초 확보했다. 최근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한 미국 모놀리스에 투자를 단행하면서 다양한 수소 생산 옵션과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SK 관계자는 "SK그룹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친환경으로 전환하는 출발점에 섰다"며 "친환경 수소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그동안 축적한 에너지 사업 역량을 결집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마지막장에 1등이” 즉석복권 15장 샀다가 5억 ‘횡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1인 2역' 박보영 '깜짝' 출연 계기 눈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막내린 용산 시대…대선 이후 대통령 집무실 어디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롯데카드부터 애경산업까지…내달 M&A 큰장 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률 42.7%’, 백신기업 1위...고수익 유지 가능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