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시그나그룹, 생보업계 '순익 빅4' 라이나생명 왜 매각하나
미국 처브그룹에 아시아태평양지역 보험사업 부문 6조9000억원대로 매각
라이나생명, TM채널 강점 타고 지난 4년간 순익 3000억원대 내며 알짜회사 등극
헬스케어 사업 막히며 시그나그룹 계획 난관…국내 보험시장 포화상태도 한몫

이후 4년이 지났다. 라이나생명은 미국 처브그룹에 매각이 결정됐다. "헬스케어 서비스를 선보이겠다"던 코다니 회장의 바람은 결국 이뤄지지 못했다.
라이나생명은 올 상반기 기준, 1651억원의 순익을 냈다. 이는 생명보험사들 중 빅3(삼성·한화·교보) 다음으로 높은 순익이다. 시그나그룹은 왜 이런 '알짜 회사'를 매각한 것일까.
헬스케어 막힌 라이나생명, 본사는 '떠나자' 판단
처브그룹은 미국 최대 기업보험 전문 보험사다. 국내에서도 처브라이프생명과 에이스손해보험, 두개의 현지법인을 두고 있다. 이번 매각에 따라 향후 라이나생명은 처브그룹의 한국 내 계열사인 처브라이프생명과 합병될 가능성도 커졌다. 물론 라이나생명은 합병, 혹은 브랜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국내시장에서 영업을 지속한다. 본사인 시그나그룹만 한국시장을 떠나는 셈이다. 라이나생명 측은 "본사끼리의 협의안이라 매각과 관련해서 특별히 공지할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라이나생명은 지난해 357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 빅3 생보사인 한화생명(1968억원)보다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텔레마케팅(TM)채널의 강점을 바탕으로 지난 4년간 매년 3000억원대 순익을 내며 '알짜 회사'로 자리매김했다. 보험업계에서 어쩌면 가장 유명한(?) 광고멘트인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도 라이나생명의 작품이다.
업계에서는 미국 본사인 시그나그룹이 라이나생명 매각을 결정한 배경으로 현재 그룹의 상황 때문이라는 시각을 내놓고 있다. 최근 시그나그룹이 주식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자 해외 자산을 매각해 자사주 매입에 활용하려 했다는 얘기다.
하지만 국내 금융당국의 높은 규제 문턱에 결국 '보험업계의 미래'로 판단되는 헬스케어 사업을 한국에서 사실상 추진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도 한 몫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코다니 회장은 성장이 포화상태에 이른 한국시장에서 전통적인 보험서비스보다 헬스케어 서비스가 더 승산이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지난 4년간 라이나생명은 규제에 발목이 잡혀 별다른 헬스케어 서비스를 내놓지 못했다.
현재 국내 의료법상 의료행위는 의료기관과 의료인만 할 수 있는 실정이다. 글로벌 보험사들은 의료행위와 보험, 건강서비스 등이 접목된 헬스케어 서비스를 확대하며 몸집을 더욱 키우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걸음수에 따라 보험료 할인 등의 한정된 서비스만 제공되는 실정이다. 금융당국이 올해 헬스케어 회사를 자회사로 둘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준 것이 사실상 국내 헬스케어 서비스의 유일한 진전이다.
한 대형사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보험사가 고객의 영양, 건강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체크해 관련 상품을 판매하고 보험서비스를 제공하며 많은 수익을 내고 있지만 우리는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는 상태"라며 "보험사가 고객의 건강을 체크하는 행위를 국내에서는 의료행위로 해석해 의료계 반발이 만만치 않은 실정"이라고 밝혔다.
외국계 보험사 무덤된 한국?

하지만 2010년대 이후 외국계 보험사들은 점차 한국시장에서 손을 터는 분위기다.
ING생명(네덜란드)은 2013년 MBK파트너스에 회사를 매각했고 우리아비바생명도(영국) NH농협금융에 회사를 넘겼다. 이후 알리안츠생명(독일)과 PCA생명(영국), 푸르덴셜생명(미국)이 회사를 매각했다. 지난해에는 프랑스계 악사손해보험이 회사 매각을 추진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중국계 다자보험(구 안방보험)이 대주주인 동양생명과 ABL생명도 끊임없이 매각설이 돈다.
라이나생명을 비롯해 외국계 보험사들이 한국시장을 떠나는 것은 한계에 다다른 한국의 보험시장 상황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란 지적이다. 한국은 저출산 기조가 장기화되고 있고 젊은층은 보험 자체에 관심이 적은 편이다. 또 지난 10년간 꾸준히 보험 불완전판매가 이뤄지며 보험업 자체에 대한 인식도 매우 부정적이다.
또 글로벌 보험사들은 비대면 온라인 채널을 적극 육성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에서는 보험설계사 위주의 대면영업이 보험사의 핵심 매출이다. 이런 요인들 때문에 글로벌 보험사들이 한국시장 영업에 한계를 느껴왔고 점차 매력을 잃었을 수 있다.
아울러 외국계 보험사들이 대기업이 지배하는 국내 금융환경을 넘어서지 못했다는 주장도 나온다. 국내 상위권 보험사는 삼성·한화·DB 등 계열사를 대거 거느린 대기업에 속해있다. 이밖에 NH농협·신한·KB 등 공룡 금융지주사 소속 보험사도 상위권에 포진해 있다. 대기업과 대형금융그룹이 가진 계열사 상호 시너지 효과와 자본력, 브랜드 이미지 등을 무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업 성장성이 제한되면 현재의 점유율을 먹고 먹는 싸움이 될 수밖에 없다"며 "이때 국내 금융인프라가 우수한 대기업 계열 보험사들이 유리할 수밖에 없는 형국이 된다. 적당한 인수자가 나타나 제값만 받는다면 외국계 보험사들이 앞으로도 한국시장에서 떠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미중 통상 전쟁 불똥 K-배터리에도…中 기업과 합작 지연·취소 이어져
2한화 금융계열사, 대전서 ‘라이프플러스 브랜드 데이’ 연다
3美 관세 충격에도…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 ‘숨 고르기’
4코스피, 기준금리 동결에 상승 전환…기관 매수에 2460선 회복
5KB증권, 해외주식 타사대체 입고 이벤트 실시
6삼성증권, 블룸버그 WTI원유 선물 추종 ETN 3종 상장
7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럭셔리 뷰티 시장 공략
8'손흥민 빵' 나온다...파리바게뜨, 토트넘 관련 제품 출시
9비트코인, 1억2000만원대 횡보세…뉴욕증시 급락에 가상자산 전반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