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OTT 성장하는데… 왜 한국에선 유료방송 ‘코드커팅’ 안 할까

한국 유료방송 시장 올해 상반기에 또 성장…52만명 증가
글로벌 OTT 영향력 커졌지만, 협업으로 고객 이탈 방지

 
 
한국 유료방송 시장이 OTT 플랫폼과 동반 성장하고 있다. 사진은 디즈니플러스와 협업하는 LG유플러스.[사진 LG유플러스]
한국의 유료방송 시장이 또 몸집을 키웠다. 과학기슬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3510만명이다.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 52만명이나 늘었다. 
 
빠르게 줄어드는 미국 유료방송 시장과 비교하면 의외의 결과다. IT 전문매체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미국 유료방송플랫폼(MVPD) 가입자는 2016년 1분기보다 2140만명이 감소했다. 감소율은 25%로, 2016년에 유료 방송을 봤던 4명 중 1명이 더는 유료 방송을 보지 않는다는 의미다.  
 
미국의 유료방송 시장이 흔들리는 건 ‘코드커팅(Cord-cutting)’ 현상 때문이다. 미국 시청자들이 케이블방송·인터넷TV(IPTV)·위성방송 같은 전통 유료 방송을 끊고 넷플릭스를 대신 구독하는 게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한국 미디어 시장에서도 OTT는 가장 가파르게 성장하는 플랫폼이다. 넷플릭스만 하더라도 국내 유료 구독자 수가 4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웨이브·티빙 등 한국기업의 OTT 플랫폼도 매 분기마다 구독자 수가 늘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런데도 미국 시장과 달리 유료방송 플랫폼 이탈로 이어지진 않았다는 얘기다.  
 
이유가 뭘까. 국내 케이블TV 업계 관계자는 “이동통신 3사가 국내 유료방송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유료방송 상품이 인터넷과 모바일 결합상품으로 묶여 있다 보니 해지가 쉽지 않은 구조”라면서 “10만원 수준인 미국 유료방송과 달리 국내 유료방송은 1만~4만원 안팎의 저가 서비스란 점도 코드커팅으로 이어지지 않는 요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국내 유료방송 시장의 상위 5개 사업자(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LG헬로비전, KT스카이라이프)는 모두 이통3사 소속이다. 이들은 모바일, 초고속인터넷, IPTV를 묶어 판매하는 결합할인을 통해 고객 락인(Lock-in) 효과를 꾀하고 있다.  
 
한국의 유료방송 업계는 글로벌 OTT 사업자와 각을 세우지 않고, 활발하게 협업하고 있는 점도 눈에 띈다. 
 
최근 한국 시장을 노크한 디즈니플러스만 해도 LG유플러스와 IPTV 단독제휴를 맺었고, 애플TV플러스는 SK브래드밴드와 손을 잡고 시장 공략에 나섰다. 국내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TV 리모컨에 해당 OTT의 전용 버튼을 넣거나, 요금을 할인하는 식으로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국내 시청자 입장에선 유료방송을 끊을 동기가 부족한 셈이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정부 'KC 미인증 해외직구' 금지, 사흘 만에 사실상 철회

2"전세금 못 돌려줘" 전세보증사고 올해만 2조원 육박

3한강 경치 품는다...서울 한강대교에 세계 첫 '교량 호텔' 탄생

4서울 뺑소니 연평균 800건, 강남 일대서 자주 발생한다

5가상세계 속 시간을 탐구하다

6고령화·저출산 지속되면 "2045년 정부부채, GDP 규모 추월"

7해외서 인기 폭발 'K라면'…수출 '월 1억달러' 첫 돌파

8한국의 ‘파나메라’ 어쩌다...“최대 880만원 깎아드립니다”

9치열한 스타트업 인재 영입 경쟁…한국도 대비해야

실시간 뉴스

1 정부 'KC 미인증 해외직구' 금지, 사흘 만에 사실상 철회

2"전세금 못 돌려줘" 전세보증사고 올해만 2조원 육박

3한강 경치 품는다...서울 한강대교에 세계 첫 '교량 호텔' 탄생

4서울 뺑소니 연평균 800건, 강남 일대서 자주 발생한다

5가상세계 속 시간을 탐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