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노인인구 증가속도 일본의 2배인데 연금액은 일본의 절반

24년 뒤 한국 노인인구 일본 추월
연금액 한국 82만원 일본 164만원
노후생활 보장 미흡, 노인빈곤 우려

 
 
이재명(앞줄 오른쪽)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용산구 대한노인회를 방문해 김호일 회장과 노인 대책에 대해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일본의 2배나 되지만 연금은 일본의 절반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지난달 5∼18일 한·일 고령층(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연금 수령 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일본보다 빠른데도 노인 소득대책은 일본보다 크게 부족해 향후 노인 빈곤 심화가 우려된다고 전망했다.  
 
조사 결과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고령 인구는 연평균 4.2%씩 증가했다. 고령화 속도가 일본(연 평균 2.1%)의 2배에 달한다. 이 속도대로 계속 진행되면 지난해 15.7%였던 우리나라 고령 인구 비중은 2024년 19.2%, 2045년 37.0%에 달할 예정이다. 최근 고령 인구에 진입한 1950년대생에 이어 베이비붐 세대인 1960·1970년대생도 10년 뒤 진입할 예정이어서 고령층 증가 시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고령 인구 비중은 24년 뒤 일본을 추월할 전망이다. 일본의 고령 인구 비중은 2020년 28.9%→2024년 29.8%→2045년 36.8%에 이를 것으로 예측한다. 참고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고령 인구 비중은 2020년 17.5%→2024년 19.2%→2045년 24.3%로 내다보고 있다.  
 
 
연금 수령액을 비교하면 한국이 월 평균 82만8000원 정도로 일본(약 164만4000원)의 절반 수준이다. 부부도 마찬가지로 한국의 월 평균 수급액은 138만4000원으로 일본(약 272만6000원)의 절반에 그쳤다.  
 
한국의 고령층이 생각하는 적정 생활비는 개인 기준 월 172만5000원, 부부 기준 월 255만5000원으로 조사됐다. 연금 생활비 대체율(적정 생활비 중에서 연금 수급액의 비중)은 개인 48%, 부부 54%였다.  
 
반면, 일본의 적정 생활비는 개인 243만5000원, 부부 325만6000원이으로 집계됐다. 연금 생활비 대체율은 개인 약 68%, 부부 84% 수준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빠르고, 연금소득은 부족해 노인 빈곤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연금의 노후 생활보장 기능을 강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 소득 구조를 개선하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 조사는 한경연의 의뢰를 받은 모노리서치가 10월 5~18일에 한국과 일본 전국에 사는 만 65세 이상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해 집계한 결과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4.3%포인트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尹 대통령, 최종 진술에서 “직무 복귀하면 개헌 추진”

2 윤 대통령 최후진술…"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

3'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4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5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

6‘알파고 이긴’ 이세돌 “AI와 경쟁 아닌 공존해야…개성과 강점 키워라”

7"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8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9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

실시간 뉴스

1尹 대통령, 최종 진술에서 “직무 복귀하면 개헌 추진”

2 윤 대통령 최후진술…"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

3'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4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5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