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만나니 술술술”…위스키 수입액, 7년 만에 뛴 비결은?
지난 10월까지 위스키 수입액 73% 증가
코로나로 홈술족 증가…하이볼 트렌드 확산
MZ세대 겨냥…위스키 체험·전시회도 선보여


지난해까지 고전을 이어오던 위스키 시장이 젊은 ‘홈술족’을 만나 기지개를 켜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집에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위스키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관세청과 주류업계에 따르면 위스키 수입액이 2014년 이후 7년 만에 증가했다. 올해 들어 지난 10월까지 위스키(스카치 위스키 기준) 수입액은 9321만달러(한화 약 1105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1% 늘었다.
젊은 층 사이에서 ‘하이볼’ 트렌드 확산…저도주 위스키도 각광

특히 위스키에 탄산수를 섞어 마시는 하이볼이 M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하이볼은 제조방법이 복잡하지 않아 온라인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하이볼 레시피에 대한 글이 확산되며 젊은 층의 위스키 수요가 늘고 있다.
위스키를 찾는 소비자층이 기존 중장년층에서 젊은 층까지 확산되자 이들의 취향을 고려해 업계는 알코올 도수를 낮춘 저도주 위스키도 선보이고 있다. 스카치 위스키 ‘조니워커’와 로컬 위스키 ‘윈저’로 유명한 주류업체 디아지오코리아는 지난해 7월 알코올 도수 32.5도로 낮춘 위스키 ‘더블유 19’와 ‘더블유 허니’를 출시했다. 일반 위스키의 알코올 도수인 40~43도보다 낮게 만들어 홈술족도 가볍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스키 체험·전시회로 MZ세대 공략 나선 업계

젊은 소비자의 유입을 위해 주류업계는 다양한 위스키 전시회와 행사 등도 개최하고 있다. 앱솔루트, 시바스리갈, 발렌타인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페르노리카 코리아는 지난 11월 15일 발렌타인 브랜드 체험 스페이스를 운영했다. 체험 스페이스 현장을 가상현실(VR)로 옮긴 3D 전시회를 개최했다.
페르노리카 코리아는 발렌타인 17년 아티스트 에디션2를 출시하며 용산구 해방촌 내 7개의 레스토랑과 협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는 트렌디한 경험을 선호하는 MZ세대를 공략한 전략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위스키와 탄산수, 음료를 섞어 마시는 하이볼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며 “가정뿐만 아니라 이자카야나 고깃집에서도 수요가 높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페르노리카 관계자는 “위스키 브랜드 체험 전시회를 통해 MZ세대 소비자층을 공략하고자 했다”며 “앞으로도 MZ세대와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위스키의 매력을 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김채영 기자 kim.chaeyoung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제1166회 로또 1등 '14, 23, 25, 27, 29, 42'… 보너스 '16'
2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3“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4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5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6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7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8“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9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