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축된 은행권 수수료이익…수익성 다변화는 '머나먼 길'
국내은행 3분기 비이자이익 지난해 동기 比 33%↓
5대 은행 수수료이익, 2020년부터 감소 지속
업계 "금리변동·대출규제 등 영향에 불안정한 수익 구조"
은행의 수익 구조가 갈수록 대출 이자에만 의존하는 형태로 굳어지고 있다. 업계에선 줄곧 저금리·저성장에 대비해 수수료이익을 늘리는 등 은행의 수익 구조 다변화가 필요하단 지적이 제기됐다. 하지만 최근 2~3년 동안 은행업계가 사모펀드 부실 판매 사태 등을 거치면서 비이자이익을 꺼리고 손쉬운 이자이익 창출에만 의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모펀드 사태 이후 5대 은행 수수료이익 감소 중
반면, 은행의 비이자이익은 감소했다. 국내 은행의 3분기 비이자이익은 1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3%(6000억원) 줄었다.
특히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국내 5대 은행의 수수료이익을 보면 2019년까지 매년 증가세를 유지하다 2020년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했다. 수수료이익은 비이자이익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5대 은행의 수수료이익은 2020년 말 총 4조930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1.9%(970억원) 줄었다. 2019년엔 전년보다 3.2%(1590억원) 증가했고, 2018년엔 4.8% 증가했다.
펀드 상품 판매 위축 등에 은행권 수익 구조 '불안정' 확대
지난해 초 금융감독원은 DLF 사태 때 내부통제기준 마련 의무 위반 등을 들어 당시 손태승 우리은행장(현 우리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에게 문책 경고의 중징계를 내린 바 있다. 이에 불복한 당시 손 행장과 함 부회장은 서울행정법원에 집행정지 신청을 통해 행정 징계 효력 취소 소송을 냈다. 올해 9월에 와서야 손 회장은 행정소성 1심에서 승소했고, 금감원이 이에 불복해 항소한 상황이다.
법조계와 은행업계는 불완전판매와 관련해 금감원이 내부통제 미비의 책임을 과도하게 적용한 사례라고 판단하고 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업계에선 상품 판매 승인을 내린 금감원은 책임을 지지 않고 은행에만 잘못을 묻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며 "펀드 판매를 꺼리는 분위기가 생기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수수료이익 감소로 은행이 이자이익에 편중된 취약한 수익 구조를 갖추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은행권 수수료이익이 감소하기 시작한 지난해부터 보고서(제로금리 시대의 은행업 리스크와 대응과제)를 내놓고 "국내은행의 수익구조는 이자이익 비중이 높은 반면 비이자이익 비중이 낮아 금리변동과 대출규제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불안정한 특징을 보인다"며 "이익증가율이 비용증가율을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김천 묘광 연화지, 침수 해결하고 야경 명소로 새단장
2"겨울왕국이 현실로?" 영양 자작나무숲이 보내는 순백의 초대
3현대차 월드랠리팀, ‘2024 WRC’ 드라이버 부문 첫 우승
4'1억 4천만원' 비트코인이 무려 33만개...하루 7000억 수익 '잭팟'
5이스타항공 누적 탑승객 600만명↑...LCC 중 최단 기록
6북한군 500명 사망...우크라 매체 '러시아 쿠르스크, 스톰섀도 미사일 공격'
7“쿠팡의 폭주 멈춰야”...서울 도심서 택배노동자 집회
8다시 만난 ‘정의선·도요타 아키오’...日 WRC 현장서 대면
9 신원식 “트럼프, 尹대통령에 취임 전 만나자고 3~4차례 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