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신규취급액 기준 3.26%…2년 11개월來 최대치
신용대출도 0.47%p 오른 4.62%…"우대금리 축소 탓"

10월 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큰 폭으로 올랐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가계대출을 억제하기 위해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축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10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26%로 한 달 새 0.25%p 올랐다. 전달 오름폭인 0.13%p보다 두 배 가량 늘었다. 이는 2018년 11월(3.28%)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용대출 금리도 연 4.15%에서 4.62%로 0.47%p 뛰었다. 2019년 3월(4.63%) 이후 최고 기록이다. 이에 따라 전체 가계대출 금리도 연 3.46%로 9월(3.18%)보다 0.28%p 올랐다.
연 3.46%의 가계대출 금리는 2019년 5월(3.49%) 이후 최고점이다. 가계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10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지난달보다 0.13%p 상승한 1.29%를 기록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2.94%로 지난달보다 0.06%p 올랐다. 대기업대출 금리는 지난달보다 0.03%p 오른 2.67%, 중소기업대출 금리는 3.14%로 0.09%p 올랐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금리를 모두 반영한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 평균은 9월(2.96%)보다 0.11%p 높은 3.07%로 나타났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 금리 평균도 연 1.17%에서 1.29%로 0.12%p 올랐다. 저축성 수신 금리(1.29%)는 2020년 2월(1.43%) 이후 1년 8개월 내 최고 수준이다.
예금은행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인 예대마진은 1.78%p로 9월(1.79%)보다 0.01%p 줄었다.
송재창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가계대출 금리 상승 배경에 대해 "코픽스와 은행채 등 지표금리 상승에 덧붙여 은행들이 가계대출 관리 차원에서 우대금리를 축소하고 가산금리를 늘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대출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자 고신용자보다 중·저신용자 비중이 늘고, 인터넷은행을 중심으로 중금리 대출 취급이 확대된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송성문, '빅리그 문' 열까.."선수 동기부여 될 것"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혜리, ♥새 사랑 찾았다..남자 친구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차익만 12억”…분양가 6억 알짜 청약단지 ‘줍줍’, 어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신평 3사, 롯데지주·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일제히 강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4연상했던 에이비온, 29.75% 급락한 사연…유틸렉스 ‘강세’[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