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출금 통장 거래 내역 활용해 사회초년생, 주부 등에 도움

하나은행은 10개월에 걸쳐 신용평가모형을 2차 고도화했다. 특히 사회초년생, 주부, 노년층 등 대출 사용 이력과 신용카드 활용 기록 등이 부족해 원활한 신용도 측정에 어려움을 겪는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모형이다.
기존 신용평가사에서 제공하는 신용정보에 하나은행 입출금 통장의 거래내역 등 신용도 상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데이터를 결합해 신용평가를 진행한다.
은행은 정밀한 데이터를 통해 체계적 리스크 관리 수행이 가능해진다.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한 손님 역시 대출 실행 및 추가 한도 부여 등 금융서비스 수혜 기회가 부여된다. 기존 손님 역시 이 모형이 동일하게 적용돼 적정한 신용평가가 가능해진다.
황효상 하나은행 리스크관리그룹 부행장은 “최근 시작된 가명정보 활용 리스크 관리 기법으로 통장 거래내역 정보를 신용평가모형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금융소외계층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솔루션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소비쿠폰 다 쓰면 5만원 더?…‘특별쿠폰’ 뭐길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성시경, 14년간 소속사 미등록 운영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천장 또 뚫었다…코스피, 삼전·하이닉스 급등에 3450선도 돌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진환 바이오플러스 대표 “분자량 한계 깬 ‘휴그로’…화장품부터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