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신용카드 5% 이상 더 쓰면 최대 100만원 추가 소득공제

[2022 경제정책방향]
올해 도입한 추가 소비 특별소득공제 1년 연장키로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기존 15·30·40%에서 25·40·50%로 올라

 
 
정부는 내년에 올해보다 신용카드를 5% 이상 더 쓰면 최대 100만원을 추가로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추가소비 특별소득공제’를 1년 더 연장키로 했다. [중앙포토]
내년엔 올해보다 신용카드를 5% 이상 더 쓰면 최대 100만원을 추가로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 20일 기획재정부는 ‘2022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신용카드 5% 이상 사용 시 해당 증가분의 10%를 연 100만원 한도에서 추가 소득공제해주는 ‘추가 소비 특별소득공제’도 1년 더 연장한다고 밝혔다. 추가 소비 특별소득공제는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업종에 대한 소비회복을 위해 소비 증가분에 대해 추가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제도다. 올해 처음 도입됐다. 
 
기존 카드 소득공제는 신용카드 사용금액이 총 급여의 25%를 넘었을 때, 해당 초과분의 15%를 공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체크카드의 공제율은 그보다 높은 30%다.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금액과 전통시장 결제금액에 대해선 40%의 공제율을 별도 적용한다. 소득공제 한도는 총 급여가 7000만원 이하인 사람은 최대 300만원까지, 7000만~1억2000만원인 사람은 250만원까지, 1억2000만원 초과하는 사람은 200만원까지 적용된다. 
 
여기에 추가 소비 특별소득공제 혜택을 더하면, 전년 대비 5% 더 신용카드를 쓴 사람에게 공제율 10%를 추가로 얹어주는 효과가 난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이 기존 15·30·40%에서 25·40·50%로 올라가는 셈이다. 이에 따라 소득공제 한도도 200만·250만·300만원에서 300만·350만·400만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아울러 내년에는 전통시장에서 전년보다 5% 이상을 더 쓴 부분에 대해선 별도의 10% 소득공제를 해 주기로 했다. 가령 추가 소비가 모두 전통시장에서 발생했다면 공제율이 20% 더해지게 되는데. 15·30·40%인 공제율이 35·50·60%까지 오르게 된다. 다만 두 공제의 한도를 합해 100만원을 초과할 수는 없다.

김성희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2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3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4‘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

5커피값 올려야 생존하는 저가커피의 딜레마

6농심-삼양의 '60년 라면전쟁'...K-푸드, '세계의 별'로 만들다

7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미국 상호관세 발표 영향

8비트코인 10만 달러 '재탈환' 시동?...연준 '유동성 언급'에 8만 3천 달러 반등

9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

실시간 뉴스

1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2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3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4‘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

5커피값 올려야 생존하는 저가커피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