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Report
한국 노인빈곤율, G5 평균의 3배에 달해 [체크리포트]
- 공적·사적연금 기능 못해…노후소득 절반, 근로소득에 의지
15~64세 사적연금 가입 비율 17%에 그쳐…G5 평균 54.9%
“국민연금 개혁 및 세제 지원 확대 등 사적연금 활성화 시급”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 및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20년 기준 40.4%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 OECD 37개국 중 1위로, G5 국가 평균(14.4%)의 약 3배에 달했다. 뒤를 이어 ▶미국(23.0%) ▶일본(20.0%) ▶영국(15.5%) ▶독일(9.1%) ▶프랑스(4.4%) 순이었다. 노인빈곤율은 66세 이상 인구 중 가처분소득이 전체 인구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자의 비율을 뜻한다.
높은 노인빈곤율의 배경에는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공적·사적연금이 자리 잡고 있다. 노후생활 주요 소득원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국민·기초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 비중(25.9%)이 G5 국가평균(56.1%)보다 현저히 낮았다. 사적연금, 자본소득과 같은 사적 이전소득 등(22.1%)의 공적연금 보완기능도 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G5 국가들과 달리 한국은 노후소득의 절반 이상(52.0%)을 근로소득에 의지하고 있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다가올 초고령사회에서 노후소득기반 확보를 위해서는 국민연금 개혁과 세제 지원 확대 등 사적연금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덴티스, 1분기 매출 324억원…분기 최대 매출 달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소년장사' 최정, 600홈런 향한 걸음을 떼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후보 지지율…이재명 지지율 49%, 김문수 27%(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트럼프 약가 인하 불똥이 알테오젠까지?…CMS 새 지침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