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국 노인빈곤율, G5 평균의 3배에 달해 [체크리포트]

공적·사적연금 기능 못해…노후소득 절반, 근로소득에 의지
15~64세 사적연금 가입 비율 17%에 그쳐…G5 평균 54.9%
“국민연금 개혁 및 세제 지원 확대 등 사적연금 활성화 시급”

 
 
한국의 노인빈곤율이 미국·일본·영국·독일·프랑스 등 주요 5개국(G5) 평균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미국을 제치고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공·사적연금의 개혁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 및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20년 기준 40.4%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 OECD 37개국 중 1위로, G5 국가 평균(14.4%)의 약 3배에 달했다. 뒤를 이어 ▶미국(23.0%) ▶일본(20.0%) ▶영국(15.5%) ▶독일(9.1%) ▶프랑스(4.4%) 순이었다. 노인빈곤율은 66세 이상 인구 중 가처분소득이 전체 인구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자의 비율을 뜻한다.  
 
높은 노인빈곤율의 배경에는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공적·사적연금이 자리 잡고 있다. 노후생활 주요 소득원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국민·기초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 비중(25.9%)이 G5 국가평균(56.1%)보다 현저히 낮았다. 사적연금, 자본소득과 같은 사적 이전소득 등(22.1%)의 공적연금 보완기능도 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G5 국가들과 달리 한국은 노후소득의 절반 이상(52.0%)을 근로소득에 의지하고 있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다가올 초고령사회에서 노후소득기반 확보를 위해서는 국민연금 개혁과 세제 지원 확대 등 사적연금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尹 대통령, 최종 진술에서 “직무 복귀하면 개헌 추진”

2 윤 대통령 최후진술…"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

3'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4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5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

6‘알파고 이긴’ 이세돌 “AI와 경쟁 아닌 공존해야…개성과 강점 키워라”

7"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8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9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

실시간 뉴스

1尹 대통령, 최종 진술에서 “직무 복귀하면 개헌 추진”

2 윤 대통령 최후진술…"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

3'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4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5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