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지원 공약…李 “무이자 대출” vs 尹 “임대료 나눔”
[유통 공약 언박싱] 대선주자 경제정책 비교 ①
여·야 대선 후보 소상공인·자영업자 위한 공약
이재명 후보, 한국형 PPP 도입 외 7가지 공약
윤석열 후보, 50조원 지원과 임대료 나눔 제시

지난해 12월 20일에 소상공인 자영업자 피해단체와 간담회를 열고 관련 공약 7가지를 발표한 이재명 후보는 ‘대환 대출과 무이자 대출 확대’ 등 대출 관련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이 후보가 가장 내세우는 공약은 ‘한국형 PPP 도입’이다.
이는 미국 급여보호프로그램(PPP)을 한국형으로 바꿔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소상공인에게 저리로 대출을 지원하고 이를 고정비로 지출할 경우 해당 금액은 대출을 상환한 것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다. 즉 소상공인이 대출한 돈을 임대료와 인건비 등 고정비로 쓸 경우 돈을 돌려받지 않는 것이다.

李 “50조원 규모 지역화폐 발행”

이 외에도 이 후보는 온라인플랫폼 거래 공정화와 관련한 법률을 제정하고, 중소벤처기업부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만을 전담하는 차관 신설, 지방자치단체 골목상권 전담지원기관 설립 등을 제시했다. 임기 내에 연간 50조원 규모의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소상공인 전용 소비쿠폰을 지급해 소상공인 매출을 지원하는 공약도 내세우고 있다. 이 후보는 지역화폐의 골목경제 활성화 효과를 앞서 성남시와 경기도에서 이미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尹 “국가가 임대료 3분의 1 분담”

임대인이 임대료의 3분의 1을 삭감하면 그 중 20%는 세액공제로 정부가 돌려주고, 나머지 손실분도 코로나가 종식된 이후 세액공제 등 형태로 전액을 보전하겠다는 공약을 냈다. 임차인인 자영업자에게도 임대료와 공과금의 절반을 면제하는 ‘한국형 반값 임대료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의 ‘한국형 반값 임대료 프로젝트’는 소상공인이 대출금을 임대료와 공과금 납부에 사용한 것이 확인되면 그 금액의 50%는 나라에서 면제하는 지원이다.
소상공인을 위한 50조원 지원 역시 강조한다. 윤 후보는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50조원을 조성하고 그중 43조원을 손실보상에 사용하고 나머지 7조원은 신용보증보험 수수료로 투입해 대출을 확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소상공인협회 “50조원, 대선 전 추경에 적용해야”

지난 14일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3주간 연장이 발표된 가운데, 자영업자 단체의 목소리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손실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계속해서 정부가 거리두기 지침만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이코노미스트]와의 통화에사 “각 후보자의 소상공인 지원 공약을 일일이 말할 순 없지만, 두 후보 모두 50조원 지원을 내세우고 있는데 이 공약들이 대선 전에 이뤄져서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 적용되는 것이 급선무”라며 “벼랑 끝에 서 있는 소상공인들은 당장 손실보상기준도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당선 이후 얼마를 지원하겠다는 등의 이야기는 와닿지 않는다”고 말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