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GS건설 신사업 키 'GS이니마‘ IPO 향해 몸집 불리기 중
- GS이나마, GS건설 신사업 매출의 40% 차지
코로나 사태로 지연 중인 상장 작업 잰걸음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지난해 매출 9조370억원, 영업이익 6460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신사업 매출은 7780억원으로 전년(6110억원) 대비 27.3% 늘었다. 전체 매출 대비 신사업 비중은 8.6%로 전년(6.0%)과 비교했을 때 소폭 올랐다.
GS이니마, GS건설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
GS건설은 올해 주요 경영 방침 중 하나로 ‘신사업 역량 강화와 집중’을 꼽았다. 그 중 수 처리 사업은 GS건설의 미래 성장 동력이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시대의 대표적인 친환경 사업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회사의 신사업 부문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GS이니마의 상장도 업계 안팎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증권업계에서 GS이니마의 기업가치를 1조~1조5000억원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만큼 자금부분에서 여유가 생기기 때문이다.
GS이니마는 통상적인 수 처리 업체와 달리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2020년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CAGR)이 11.9%, 영업이익 CAGR는 29.6%에 이른다. 증권업계에서는 GS건설이 GS이니마 상장을 통해 3000억원~4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글로벌 M&A로 사업 확장, 상장 지속 준비 중
하지만 GS이니마의 상장작업은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GS이니마 수 처리운영 사업장의 절반가량이 있는 브라질과 GS이니마 본사가 있는 스페인 등에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실사에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GS건설 관계자는 “상장을 지난해부터 계속 준비해 왔다”며 “구체적인 상장 시기는 시장상황에 띠라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GS이니마는 적극적 인수합병(M&A)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몸집 키우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를 통해 GS이니마는 현재 세계 5위권 안에 드는 수 처리 기업으로 성장했다. GS건설이 막 인수한 때인 2012년엔 세계 10위권 안팎 수준이었다. 최근에도 GS이니마는 베트남 수 처리 업체의 지분을 인수하며 동남아시아 시장에 첫 진출했다.
GS건설은 GS이니마는 베트남 남부의 롱안성 공업용수 공급 업체인 ‘푸미빈 건설투자사’(PMV)의 지분 30%를 인수했다고 8일 밝혔다. PMV는 호찌민시와 인접한 롱안성에서 2개의 공업용수 공급 사업장을 운영 중인 수 처리 업체다. 이 업체의 지분 구성은 GS이니마 30%, 말레이시아 수처리 회사인 RBC 30%, 베트남 개인 투자자 40%다.
앞서 GS이니마는 2019년 브라질 BRK 암비엔탈 산업용수 사업부문을 인수해 남미 시장에, 2020년에는 오만에서 민자 담수발전사업 프로젝트를 따내며 중동 시장에 진출했다.
허윤홍 GS건설 신사업 부문 대표는 “베트남 시장 진출로 GS이니마는 오세아니아를 제외한 5대주로 수 처리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