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이더리움’ 웨이브…전쟁 포화 속 일주일에 52% 급등
러-우크라 지정학 리스크와 웨이브 2.0 업데이트 호재 맞물려

6일 오후 5시 업비트 기준 웨이브는 전일(오전 9시 종가) 대비 5.15%(1100원) 오른 2만24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4일 오후 4시경에는 2만5510원까지 오르면서 이번주(2월 28일~3월 6일) 중 최고가를 보였다. 시가총액은 약 2조3981억원으로 글로벌 전체 암호화폐 가운데 50위에 자리하고 있다. 지난 24시간 거래량은 7178억원가량으로 거래가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웨이브는 러시아 국적의 알렉산더 사샤 이바노프가 개발해 2016년 출시한 암호화폐 플랫폼이다. ‘러시아의 이더리움’으로도 불린다. 이더리움도 러시아인 비탈릭 부테린이 창시했기 때문에 언뜻 어색하게 들리지만, 웨이브는 러시아 내에서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2020년에는 러시아의 엑스포뱅크라는 은행이 웨이브를 담보로 대출을 진행한 바 있다. 러시아 최초로 코인을 담보로 대출을 진행한 사례였다.

‘우크라 사태’에 폭등한 웨이브…업데이트 등 자체 호재도

지정학적 이유와 별개로 웨이브의 2.0 업데이트, 올브릿지와의 협업 소식 등 자체 호재도 있다. 웨이브는 지난달 10일 웨이브 2.0으로의 전환을 발표했다. 올 한 해에 걸쳐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 메타버스 프로토콜, 미국 진출 등의 내용이 담겼다. 지난달 22일 올브릿지와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올브릿지는 이더리움과 솔라나처럼 다른 블록체인의 연결을 지원해주는 플랫폼이다.
하지만 자체 호재는 꽤 시차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전쟁 사태가 반등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데 무게가 더 실린다.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일부 알트코인들은 개인 투자자들에 의해 폭등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웨이브는 국내 4대 거래소 가운데 업비트와 빗썸에서 거래 가능하다. 현재 코인원과 코빗에는 상장돼 있지 않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그린알로에, ‘2025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건강기능식품 부문 수상
2중국서 다시 불붙은 '트럼프 변기 솔' 인기…반미 감정에 풍자 상품 재조명
31번지의 특별함 누리는 하이엔드 프라이빗 멤버스 클럽 ‘디아드’ 눈길
4그린알로에 알로에스테,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알로에화장품 부문 9회 수상
5트럼프 행정부, 또 한국 건너뛴다…아시아 순방서 '패싱' 지속
6두나무 ‘업비트 데이터 랩’ 출시…가상자산 통합 데이터 플랫폼 확대
7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3대 지수 일제히 약보합 마감
8뉴로바이오젠, 미국 제약사와 6.5조원 규모 비만·치매 치료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맺어
9 트럼프 칩수출 제한, 엔비디아 시간외거래에서 6% 급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