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러시아 영향에 요동치는 글로벌시장...주가·환율 변동성 확대

MSCI 기준 선진국 주가 한 달여 간 5.8% 하락
신흥국 주가는 9.7% 급락
한은 “미 긴축 전망 및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은 지난 10일(현지시간) 키아우 인근 브로바리에서 러시아군 기갑부대를 공격해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 트위터 캡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이 다가온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까지 겹치면서 주식 등 국제 금융시장의 주요 지표가 최근 높은 변동성을 나타냈다. 주요국과 신흥국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미 달러화는 안전자산 선호 강화 등으로 강세를 보였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22년 2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기준 선진국 주가는 올해 2월 1일~3월 9일 중에 5.8% 떨어졌다. 한은은 독일 주가 지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했다고 전했다. 독일의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 비중은 2020년 기준으로 66%를 기록했다. 최근 러시아와의 천연가스 거래가 중단될 우려가 커지며 주가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신흥국 주가는 MSCI 기준으로 같은 기간 9.7% 떨어졌다.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과 함께 급락한 후 거래가 중단됐고, 인도는 글로벌 투자심리 위축, 외국인 주식투자자금 유출 등으로 하락했다. 반면 인도네시아, 멕시코는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의 수익성 개선 전망 등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주가 지수 현황 [자료 한국은행]
 
미 달러화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등으로 강세를 보이며 올해 2월 1일~3월 9일 중 달러인덱스(DXY) 기준으로 1.5% 올랐다. 반면 유로화와 파운드화는 러시아 전쟁 사태가 유럽지역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클 것이라는 전망 속에 약세를 나타냈다. 신흥국 통화를 보면 러시아 루블화는 같은 기간 5.6% 크게 하락했다. 반면 브라질 헤알화는 원자재가격 상승 영향 등으로 강세를 보였다.
 
원·달러 환율은 2월 하순 들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긴장 고조, 유가 급등 등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올랐다. 서울외환시장의 종가 기준으로 원·달러 환율 2월 들어 1200원을 돌파했고, 3월 8일에는 1237.0원까지 상승했다.  
 
금리도 계속 상승하는 모습이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연준의 긴축 전망과 러시아 전쟁 사태에 따라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1월 말 1.78%를 기록한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2월 15일 2.04%, 3월 1일 1.73%, 3월 9일 1.95%를 기록했다.  
 
한은은 독일과 영국도 미국과 비슷한 흐름을 나타내며 상승했다고 전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의 직접적 영향으로 큰 폭으로 상승 후 2월 28일부터 거래가 중단됐다. 한편 러시아 중앙은행은 같은 날 정책금리를 9.5%에서 20.0%로 인상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크라운해태, 광주 시민 위한 전통음악 공연 개최

2'흑백요리사' 셰프마저…파인다이닝 "월급 300만원도 힘들어"

3"정보 미리 알았나?"…트럼프 측근 의원의 수상한 투자 타이밍

4동아에스티 자회사 메타비아, 비만 치료제 1상 일부 결과 수령

55400만원 '버킨백' 中 공장선 얼마?…'원가 폭로'에 美 발칵

6대신증권, 시니어 고객 대상 ‘대체거래소 교육’ 실시

7신한투자증권, 시니어 PB `마이스터클럽` 신설

8‘캠프요리축제 심사위원’ 셰프 서진영 “만능 엔터테이너 될래요”

9이은미 토스뱅크 대표 “최초 넘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은행 되겠다”

실시간 뉴스

1크라운해태, 광주 시민 위한 전통음악 공연 개최

2'흑백요리사' 셰프마저…파인다이닝 "월급 300만원도 힘들어"

3"정보 미리 알았나?"…트럼프 측근 의원의 수상한 투자 타이밍

4동아에스티 자회사 메타비아, 비만 치료제 1상 일부 결과 수령

55400만원 '버킨백' 中 공장선 얼마?…'원가 폭로'에 美 발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