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DP대비 투자 규모 OECD 2위
지식재산사용료 수입 비중은 9.9%, OECD 평균 이하

20일 전경련에 따르면 OECD 36개국의 2001∼2020년 R&D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은 2001년 2.27%에서 2020년 4.81%까지 높아졌다. 같은 기간 R&D 투자 비중 순위는 9위에서 2위로 뛰어올랐다.
2001년부터 2020년까지 5년 단위로 민간부문의 R&D 증가율을 보면 2001∼2005년, 2006∼2010년에는 각각 11.4%의 증가율을 보였다. 2011∼2015년에는 7.5%, 2016∼2020년에는 8.0%로 집계됐다.
전경련은 우리나라의 R&D 규모가 전 세계 최상위권이지만, R&D 성과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R&D 대비 특허 건수가 OECD 회원국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간 특허 건수는 3057건 OECD 국가 중 4위였다. 하지만 R&D 투자 금액 100만 달러당 특허 건수는 0.03건으로 OECD 국가 중 11위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투자한 금액에 비해 특허 건수가 적다는 것은 국내 R&D 투자의 효율성이 좋지 않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R&D 투자의 경제적 성과를 나타내는 R&D 투자 금액 대비 지식재산사용료 수입 비중은 2018년 기준 9.9%로 OECD 평균(27.7%)을 밑돌았다.
전경련은 대기업의 R&D 투자액이 우리나라 전체 기업 R&D 투자의 61.4%를 차지하는 만큼 대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OECD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R&D 지원율은 26%로 OECD 평균(21%)보다 높았지만, 대기업 R&D 지원율은 2% 수준으로 OECD 평균(17%)에 못 미쳤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기업의 R&D 투자는 정부·공공 R&D보다 국내 총요소 생산성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크다"며 "대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태원 빌딩 45억→350억…태진아, 300억 시세 차익 ‘대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자택서 금품 훔친 절도범, 징역형에 항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천피 시대…15.3조원 규모 시중 뭉칫돈, 주식형 펀드로 몰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진환 바이오플러스 대표 “분자량 한계 깬 ‘휴그로’…화장품부터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