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보험사, 당국 RBC 권고치까지 떨어져
금리 상승에 보유 채권 가치 하락 영향

2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적을 공시한 보험사들의 RBC비율이 전분기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
RBC비율은 보험사가 파산했을 때 소비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막기 위한 제도다. 보험업법에서는 100% 이상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금융당국은150% 이상을 요구한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150%에 미달한 보험사는 최근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된 MG손해보험(88.3%)이 유일하지만, 업계에서는 당국의 RBC비율 권고치를 지키지 못할 보험사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KB금융지주 계열 푸르덴셜생명의 올해 1분기 말 RBC 비율은 전 분기보다 61.7%포인트 떨어진 280.7%를 기록했다. KB손해보험은 179.4%에서 162.3%로 낮아졌고 KB생명도 186.5%에서 161%로 하락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DB생명(157.7%), 흥국생명(163.2%), KDB생명(168.9%), 한화생명(184.6%), 흥국화재(155.4%), AXA손해보험(169.7%), 한화손해보험(176.9%), 롯데손해보험(181.1%), 농협손해보험(196.5%) 등의 RBC비율이 당국의 권고치까지 온 상황이다.
금융업계는 한국은행이 4월 금리 인상에 이어 추가적인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이유로 각 보험사는 RBC비율 방어 등을 위해 채권 재분류, 후순위채 발행, 신종자본증권 발행, 유상증자 등 자본확충을 서두르는 모습이다.
3월 이후 메리츠화재, DGB생명, 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NH농협생명, 흥국생명 등이 신종자본증권 또는 후순위채를 발행하거나 발행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러브버그, 7월 중순이면 사라질 듯…살충제까지 쓸 필요 없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혜리, ♥새 사랑 찾았다..남자 친구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주담대 6억 규제'로도 집값 못 잡으면…한은이 내놓은 대책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신평 3사, 롯데지주·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일제히 강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4연상했던 에이비온, 29.75% 급락한 사연…유틸렉스 ‘강세’[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