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로나19 이후 살 쪘다”…10대 비만 환자 증가폭 가장 커 [그래픽뉴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만통계 분석 결과
소아·청소년층 10대 중심으로 비만 환자 급증

 
 
2017년 이후 4년 사이에 비만 환자가 갑절 이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만 환자 증가는 소아·청소년층에서 두드러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 4월 21일 발표한 ‘2017∼2021 영양결핍과 비만 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비만 환자는 3만170명으로 2017년 1만4966명의 배 이상으로 늘었다.
 
전체 비만 환자 가운데 남성은 9676명으로 2017년(2832명)보다 3.4배로 늘었고, 여성은 2만494명으로 2017년(1만2134명)의 1.7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비만 환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6666명(22.1%)으로 가장 많았고, 40대(6504명), 10대(4457명), 50대(3984명) 순이었다.
 
증가폭은 10대에서 가장 컸다. 2017년 1227명이었던 10대 환자는 지난해 4457명(3.6배)으로 대폭 늘었다. 10세 미만 환자도 같은 기간 1014명에서 3102명으로 3배 증가했다. 전체 환자 가운데 비중이 가장 높은 30대와 40대 환자는 2017년보다 각각 59.8%, 80.4% 증가했다.  
 
비만 환자 증가 요인으로는 코로나19 유행으로 변한 식습관과 운동 습관이 꼽힌다.  
 
실제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으로 배달 음식 섭취가 늘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38.5%였으며,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 신체 활동이 줄었다는 사람은 52.6%였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빌게이츠 “5년 이내 상용화” 발언에...양자컴株 활활

2“미국에 내고 나이 들어 또 내고” 연금계좌 해외주식ETF 배당 이중과세 논란

3‘미래 핵심기술 확보 가속화’…현대건설, 김재영 서울대 연구부총장 영입

4시동 걸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보관 탱크 해제...13일 시작

5“불법 스트리밍 172만회 조작”…영탁 전 소속사 대표 징역 8개월

6尹 초래한 의료대란...지난해 혈세 '3조3000억원' 출혈

7“엄마·아빠랑 자주 갔는데”...패밀리 레스토랑 TGI 사라진다

8카카오페이, ‘티메프’ 악재 여파에도…실적 발표하자 주가 ‘쑥’

9트럼프 행정부 출범해도…기업 절반 “美 보편관세 영향 적어”

실시간 뉴스

1빌게이츠 “5년 이내 상용화” 발언에...양자컴株 활활

2“미국에 내고 나이 들어 또 내고” 연금계좌 해외주식ETF 배당 이중과세 논란

3‘미래 핵심기술 확보 가속화’…현대건설, 김재영 서울대 연구부총장 영입

4시동 걸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보관 탱크 해제...13일 시작

5“불법 스트리밍 172만회 조작”…영탁 전 소속사 대표 징역 8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