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찌가 제페토와 또 손잡은 이유…"제페토는 Z세대 가상 옷장"
구찌와 연 두 번째 월드에 한 달 75만명 방문
실제 상품과 똑 닮은 아이템으로 홍보 효과↑
폭력성 적고 브랜드 가치 훼손하지 않아
![](/data/ecn/image/2022/05/14/ecnbdc07dae-0278-4ffc-abca-655226a46a4b.jpg)
많은 글로벌 기업이 나이 어린 고객을 만나기 위해 제페토에 손을 내밀고 있다. 특히 패션과 엔터테인먼트, 유통 기업은 다른 곳보다 빠르게 제페토와 제휴를 추진했다. 제페토는 서비스 출시 초기부터 글로벌 명품 브랜드와 협력하며 시장의 눈길을 끌었다.
크리스찬 루부탱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피해 2020년부터 제페토에서 신상품을 공개하고 있다. 구찌는 지난해 이탈리아 피렌체 매장을 그대로 옮긴 '구찌 빌라'를 열었다.
구찌는 최근 제페토 내 전시관을 마련하며 제페토와 두 번째 협력에 나섰다. 서울에서 열린 '구찌 가든 아키타이프' 전시를 홍보하기 위해서다. 구찌는 제페토에 전시 공간과 작품을 그대로 복제한 가상공간을 선보였다. 3월 한 달간 이곳을 방문한 제페토 이용자는 75만명, 이 가상공간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을 제작한 것은 5만7000여 건에 달한다. 구찌가 이번 가상 전시로 판매한 제페토 아이템은 11만개 이상이다.
![](/data/ecn/image/2022/05/14/ecn22211f4b-4e76-4440-9245-42cf85f8c422.jpg)
또한, "다른 메타버스 플랫폼과 달리 제페토는 폭력성이 낮고 이용자도, 브랜드도 자기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충분히 환경을 갖추고 있다"며 "브랜드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자사 제품을 홍보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글로벌 기업이 제페토를 찾는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data/ecn/image/2022/05/14/ecn7e1dffad-7718-4728-b480-1eb7e99bbd59.jpg)
제페토 안에서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이 실제 상품과 거의 같다는 점도 글로벌 브랜드의 호응을 얻는 이유다. 강 리드는 "제페토 내 가상공간과 제휴 아이템은 실물과 거의 흡사하게 만들어지는데, 높은 구현도와 정확도는 해외 기업과 브랜드가 제페토와 제휴하는 이유"라며 "올해도 많은 글로벌 기업과 신규 제휴가 계획돼 있으며,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선 대형 쇼핑몰, 메이저 식음료 브랜드 외 제휴처를 더 늘려갈 예정"이라고 했다.
![](/data/ecn/image/2022/05/14/ecn6ece5557-6d04-46e7-8834-42ff43f35d5c.gif)
네이버가 메타버스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확장하면 제페토를 찾는 기업도 확대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현재 현실과 가상공간을 연결하는 아크버스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네이버의 암호화폐인 '링크'의 사용처를 확대하기 위해 제페토를 포함한 메타버스 플랫폼에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 4월 "대체불가토큰(NFT)과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활용한다면 네이버의 여러 서비스와 커뮤니티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아크버스와 제페토를 연결하거나, 제페토에 신기술을 전략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메타버스가 대중화되고 플랫폼 안에서 할 수 있는 경제활동이 확대되면 패션과 엔터테인먼트 외 다양한 업종의 기업이 제페토의 문을 두드릴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는 현재 제페토 이용자가 가상공간, 아이템 등 자체 콘텐트를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를 지향하고 있다. 제페토 이용자는 크리에이터가 돼 아이템을 만들어 팔 수 있고, 아바타를 통해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청자는 제페토에서 사용하는 가상 화폐 '젬'이나 아이템을 스트리머에게 선물할 수도 있다.
![](/data/ecn/image/2022/05/14/ecnd6ed4e7e-726d-45c7-8162-41caf0ba57a0.jpg)
선모은 기자 seon.mo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퍼지는 K-뱃고동’...韓조선, 경쟁국 中 넘어 선박 수주 1위
2"마누라 보면 분노 폭발"...강추위에도 '백해무익' 담배 사러 줄섰다
3뉴진스→NJZ, 팀명 변경 후 독자 행보…어도어와 법적 공방은 계속된다
4“실물 신분증 없이 환전 가능” 국민은행, 관련 서비스 내놔
5인도 5년만에 첫 금리인하..."성장 둔화 극복"
6‘항공기 지연·결항’ 보상해주는 보험 상품 나왔다
7'제2 테슬라' 주목받던 니콜라, 결국 파산위험 직면
8 검찰, '이재용 1·2심 무죄'에 대법원 상고
9‘리플’말고 ‘XRP’로 불러주세요...거래소 내 명칭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