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교란·가계부채 등 韓경제 3대 리스크 대비해야"
중국경제 경착륙, 스테그플레이션도 우려
상경계 교수 150명 대상 '신정부 한국 경제 주요 리스크와 대응방안' 설문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대학 상경계열 교수 150명을 대상으로 신정부가 유념해야 할 경제리스크를 설문 조사해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16일 밝혔다. 우크라이나사태 장기화와 중국 경제 리스크, 국내 가계부채 등 위험 요인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응답자들 가운데 과반은 ‘미·중 갈등 격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 심화’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발생 확률이 높음(47.3%)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절반에 육박했고 보통이라고 답한 비율도 35.3% 수준이었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위험도에 대해 심각하다고 답한 비율도 53.3%로 집계됐다.
공급망 교란에 대비해 어떤 대응책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입선 다변화’(42.2%)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꼽았다.
‘가계대출 부실화로 인한 금융발 경제위기’도 문제로 꼽혔다. 발생 확률이 높고,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치명적이라는 해석이다. 발생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한 답변은 41.3%였다.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위험도가 심각할 것으로 전망한 전문가는 42.0% 수준이었다. 교수들은 가계부채 문제의 효과적 해결방안으로 기준금리 인상(28.5%), ‘고용 확대를 통한 가계의 금융방어력 강화’(17.1%)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중국 부동산 버블과 과다한 기업부채 붕괴, 코로나19 봉쇄 등 중국 경제 경착륙’에 대해서도 교수들은 발생 가능성이 높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경제가 어려워질 경우를 대비해 우리 정부가 ‘수출 다변화 지원정책’(47.0%)을 펴야 한다고 답했다. ‘안정적 금융시스템 방어력 구축’(29.5%), ‘대중 의존도 높은 산업 내수지원책 강화’(18.6%) 필요성에 대한 대답이 뒤를 이었다.
교수들은 과거 오일쇼크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고 응답했다. 스태그플레이션 대응책에 대해서는 ‘금리인상 유지, 경기침체보다 물가안정 주력’, ‘성장잠재력 확충, 기술혁신 통한 경제의 공급능력 확충’을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공급망 교란 심화 등 발생 가능성이 높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큰 대내외 리스크부터 (정부가) 먼저 관리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G그룹, 산불 피해복구와 소방관 지원 위해 성금 5억원 기부
2부동산에 쏠린 빚만 ‘연간 100조원’ 이상...11년 만에 2.3배로
3거래소, 6월부터 파생상품 야간거래 1시간 연장
4LIG넥스원, 美 방산 기업 안두릴과 미래전 무기체계 개발협력
5백종원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안 한다…논의 중단돼”
6원/달러 환율, 다시 1470원선 위협…어디까지 오를까
7지그재그, 브랜드 편집숍 ‘셀렉티드’ 정식 론칭...거래액 최대 2782%↑
8카카오뱅크-전북은행 ‘공동대출’…금융위 혁신금융 신규 지정
9트럼프 관세, 셈법 들여다보니…"美 무역적자 0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