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든 “미국 의회에 신속한 승인” 촉구
터키 “반정부 쿠르드족 감싸는 위험 국가”
스웨덴·핀란드 “터키 안보에 기여하겠다”

핀란드와 스웨덴이 서방세계 안보공동체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가입을 신청한 것에 대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 시간) 전폭적인 지지 의사를 재차 밝혔다. 하지만 나토에 가입하려면 회원국들의 만장일치가 필요한데 회원국인 터키가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어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가 효력을 발휘할지 미지수다.
그동안 중립적 입장을 취해온 핀란드와 스웨덴이 나토 가입하게 되면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경제
바이든 대통령은 “핀란드와 스웨덴이 나토 가입을 위한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며 “미국 정부가 이날 의회에 핀란드와 스웨덴의 나토 가입 관련 보고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들 두 나라의 나토 가입에 대한 미국의 승인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도록 하기 위해 상원에 보고서를 제출한다”면서 “가능한 한 빨리 승인해줄 것을 상원에 촉구한다”고 언급했다.
바이든은 이날 백악관에서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스웨덴 총리와 3자 정상회담 뒤 가진 공동 연설에서 “핀란드와 스웨덴이 나토 가입을 위한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한다”며 이들이 나토 가입을 신청한 날을 “중대한 날”이라고 밝혔다.
그는 “나는 위대한 민주 국가이자 긴밀하고 가장 역량 있는 파트너인 두 국가가 역사상 가장 강력한 방어 동맹인 나토에 가입을 신청한 데 대해 강력하게 지지를 표명하게 돼 자랑스럽다”고 발표했다.
그는 이어 “스웨덴과 핀란드는 이미 다양한 이슈에서 우리의 가장 가까운 파트너 중 하나”라며 “양국 군은 앞서 아프가니스탄·이라크·코소보에서 미국·나토군과 활동했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두 국가 모두 러시아의 침공에 맞서 자유를 지키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이미 미국을 비롯해 다른 동맹, 파트너와 조율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나토 회원국인 터키가 잠재적인 테러리스트가 존재한다며 핀란드와 스웨덴의 나토 가입을 반대하고 있다. 나토 가입은 30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를 거쳐야 통과되는데 터키만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터키는 반대하는 이유가 해소되는 조건부로 찬성하겠다는 입장이다.
터키는 자국 안에서 활동하는 반정부 쿠르드족 분리독립 지원 인사들을 스웨덴과 핀란드가 지원·보호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터키 안에서 분리주의 운동을 벌이는 쿠르드노동자당(PKK·쿠르드족 무장단체)을 핀란드와 스웨덴이 지원하는 것을 문제 삼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터키에 대항해 쿠르드족 분리운동을 벌이고 있는 이들이 스웨덴에서 정당을 운영하고 있어서다. 이 때문에 터키를 위협하는 이들을 감싸는 국가들과 군사동맹을 맺을 수 없다는 것이 터키의 입장이다.
이를 의식한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과 막달레나 안데르손 스웨덴 총리은 나토 동맹국이 되면 터키의 안보를 강화하는데 일조하겠다는 다짐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핀란드는 나토의 강력한 동맹이 될 것”이라고 다짐하면서 나토 국가들이 신속하게 승인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니니스퇴는 특히 “핀란드는 터키와 평소에도 항상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며 “나토 동맹이 되면 터키가 핀란드의 안보를 약속하는 것처럼 (핀란드도) 터키의 안보를 약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니니스퇴는 이어 “핀란드는 모든 형태의 테러를 규탄하며, 그에 적극적으로 맞서고 있다”며 “터키가 제기하는 모든 우려를 공개적이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논의하는 데 열린 (마음으로 대하고) 있으며, 그 논의는 이미 이뤄지고 있다”고 부연 설명했다.
안데르손 스웨덴 총리도 연설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나토 가입을 신청하게 됐다”면서 “스웨덴의 안보가 나토 동맹 안에서 가장 잘 보호될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며 나토 가입 배경을 밝혔다.
안데르손은 이어 “국방비 지출을 늘리고, 가능한 빨리 국내총생산(GDP)의 2%를 달성할 것”이라며 나토 동맥국이 되면 지출해야 할 국방비 지출을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윤석열 탈당설 도는데...'친윤' 장예찬은 복당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소년장사' 최정, 600홈런 향한 걸음을 떼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월급쟁이 감세론' 제동 건 기재부, 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트럼프 약가 인하 불똥이 알테오젠까지?…CMS 새 지침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