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대상 10억원 이상 수입 대행업자
미등록 시 2000만원 이하 벌금 부과

7월부터 수입물품을 10억원 이상 해외 직구(직접 수입)를 대행하는 업자는 세관에 등록하고 영업해야 한다.
관세청은 7월 1일부터 구매대행업자 등록제를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해외구매 대행업자는 국내 소비자를 대신해 구매계약·통관·납세 등에 관여하는 무역거래 주체이지만 통관 과정에서 구매대행 여부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른 보완 조처다.
이에 따라 관세청은 해외구매 대행업자의 신뢰 구축, 통관적법성 확립, 소비자 보호 등을 위해 지난해 7월 관세법을 개정해 구매대행업자 등록제를 도입했다. 업자의 등록 준비기간을 고려해 1년 동안 유예기간을 부여했다.
구매대행업 의무 등록 대상은 직전 연도에 구매대행한 수입물품 가격이 총 10억원 이상인 경우다. 세관에 등록한 뒤 등록번호를 발급받고 수입할 때 세관신고서에 이를 기재하면 된다. 등록하지 않으면 2000만원 이하 벌금을 부과할 방침이다.
해외직구 구매대행업자 등록에 대한 내용은 관세청 누리집 홈페이지에서 ‘해외직구 여기로’에 게시한 안내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양손에 흉기 든 남자가 있어요”…공포에 질린 시민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여신' 페이지 스피라넥, 팬과 언론 모두 홀린 화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투자 실수하면 배임죄로 감옥행…어떻게 사업하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문어발 확장의 부메랑…스마트스코어 정성훈 회장 피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디앤디파마텍·지아이이노베이션, MSCI+FTSE 겹경사...의미와 전망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