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초 다이옥신 오염토 대규모 정화…목표치 하회하는 성과 달성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대규모 다이옥신 오염토양을 완전히 정화하는 데 성공했다.
현대건설은 인천 부평 소재 미군 반환기지인 ‘캠프마켓’ 1만1031㎡의 오염을 정화하는 작업을 2년 11개월 만에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과정에서 주거 밀집지역에 위치한 기지 주변 주민의 다이옥신 노출 및 공사소음 불안도 불식됐다.
이를 위해 현대건설은 ‘열봉 방식 열처리공법(IPTD, In-Pile Thermal Desorption)’과 ‘열산화공정(Thermal Oxidation)’을 활용했다. 열봉 방식 열처리공법(IPTD, In-Pile Thermal Desorption)은 1급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을 완전히 밀폐된 형태로 가열방식을 통해 토양에서 분리해 정화한다. 따라서 다이옥신 분진과 증기가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낮은 친환경 공법으로 불린다.
가열봉으로 335℃까지 달궈진 오염토양에서 다이옥신이 증기형태로 추출되면 이 증기는 1000℃ 이상 열을 가하는 열산화 공정을 통해 유해물질이 사라진 가스로만 배출된다.
현대건설은 특히 방독마스크와 방진복, 살수시설을 철저히 갖추고 토양정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온의 증기와 미세먼지로부터 작업자 안전 및 작업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만전을 기했다.
이에 따라 캠프마켓 오염 토양 내 다이옥신 농도는 목표치였던 100피코그램(1피코그램: 1조분의 1g)을 대폭 하회하는 2.18피코그램까지 낮아졌다.
현대건설은 캠프마켓 정화작업에 앞서 2001년 ‘광주시 비위생 매립지 오염토사 세척공사’부터 ‘경부고속철도 오염토양 정화공사’, ‘일본 키타큐슈시 불소오염토 정화사업’ 등 국내외 다수의 토양정화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싱가포르 주롱도시공사(JTC, Jurong Town Corporation)’, ‘난양공과대학교(NTU ;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를 비롯한 국내외 기관과 함께 ‘싱가포르 오염 준설토 정화 및 재활용’과 관련한 연구과제를 수행해 세계 최고 수준의 토양 정화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관련 특허 30건 등록을 마쳤으며 환경부 선정 환경신기술 3건을 인증 받는 등 환경선도기업으로서 국내 용산 반환기지부터 해외 토양 정화사업까지 적극 진출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국내 최초로 시도한 대규모 다이옥신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사업이었기에 우려가 있었으나 오염 피해 없이 완벽한 정화를 이뤄냈다”면서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문제가 크게 부각될 것으로 전망돼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오염된 환경을 복원하는 사업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민보름 기자 min.boreum@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알테오젠 ‘ALT-B4’ 美 물질특허 등록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MLB 올스타전 신기하네, 홈런 스윙오프 실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후폭풍 무서워”…고가 아파트 포기하는 계약자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