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재부·금융·재정·통화 수장들 16일 회동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 열고 대책 논의
윤석렬 정부 출범 후 첫 자리 “상황 엄중”

이번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는 애초엔 기재부 1차관 주재로 열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미국의 물가 폭등, 인플레이션 우려 확산,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상 예고, 우크라이나 전쟁 파장 장기화, 유가 급등 지속 등 세계 경제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금융·재정·통화 당국 수장들이 직접 나서게 됐다.
해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 상황이 연준의 금리 인상 후폭풍에 휘둘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 때문에 회의 명칭도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로 바꿨다.



한국 역시 미국처럼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저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을 통해 가계부채·물가 관리 강화, 국고채 바이백 확대, 금융사 건전성·유동성 점검 등으로 대응해왔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알테오젠 ‘ALT-B4’ 美 물질특허 등록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MLB 올스타전 신기하네, 홈런 스윙오프 실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후폭풍 무서워”…고가 아파트 포기하는 계약자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