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이 하락 의견 더 높아, 무주택>유주택 순

올해 들어 일반 주택 소비자들 사이에서 '하반기 집값 하락'을 예측하는 의견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플랫폼 기업 (주)직방(직방)이 6월 20일부터 7월 4일까지 자사 어플(App) 사용자 1727명을 대상으로 ‘2022년 하반기 집값 전망’을 묻자 설문 응답자 중 61.9%가 ‘하락’할 것을 전망했다고 11일 밝혔다. ‘상승’한다는 답변은 21.1%, ‘보합’은 17.0%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직방이 진행한 ‘2022년 전체 집값 전망’ 설문보다 집값 하락을 전망한 비중이 대폭 늘어난 반면 상승은 감소했다. 당시 설문에서 전체 응답자 중 하락은 43.4%가, 상승은 38.8%가 차지했다. 보합은 17.8%로 올해와 비슷했다.
이처럼 올해 집값이 하락한다고 전망한 이유 중에서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가 63.9%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으로 인한 수요 감소’가 15.0%를 차지했고 ‘물가상승 부담과 경기둔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완화에 따른 매물 증가’가 각각 12.1%, 4.7%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와 달리 집값 상승을 점친 응답자 35.7%는 ‘원자잿값 상승으로 분양가 및 집값 동반 상승’으로 인해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매수 전환수요 증가’를 고른 응답자도 21.4%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밖에 ‘정부 부동산 정책 규제 완화 기대(14.6%)’와 ‘신규공급 물량 부족(11.8%)’,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 호재(11.0%)’라고 답변한 비율도 10%를 넘겼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서 하락을 예측한 응답자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63.2%)과 경기(63.7%), 인천(61.0%)에서 하락 전망이 모두 60%를 넘겼다. 반면 지방 5대 광역시는 59.5%로 하락 전망 비율이 소폭 낮았다.
또한 집값 하락을 예상한 응답자는 무주택자 중 72.4%로 유주택자(51.2%) 집단보다 비율이 높았다.
직방은 “2022년 하반기 주택가격은 추가 금리 인상,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 등 외부적인 요인이 계속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매수 위축도 이어지면서 매매가격은 하향 조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리고 “20대 정부에서 상반기에 취득세 및 양도세 등의 거래세 완화 등을 진행한 데 이어 하반기에는 규제지역 해제를 비롯해 3분기부터 생애 최초 LTV 완화, 재산세 및 종부세법 개편 등의 계획을 가지고 있어 이 같은 정책이 주택가격 시장에 어떤 영향으로 이끌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다시 돌아가는 M&A 시계…대기업이 이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이데일리
마켓인
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주4.5일제 시작될 시점은?” 질문에 대답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다시 돌아가는 M&A 시계…대기업이 이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