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전경련 "국내 원자력 산업 경쟁력, 탈원전 이전의 65% 수준"
- 원전 기업 대상 조사…원전 산업 회복에 4년 필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최근 70개 원자력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31개사의 답변을 종합하면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1.6%)은 국내 원전 산업의 경쟁력이 30∼40% 하락했다고 답했다. 20∼30% 하락했다고 답한 기업은 22.6%, 10∼20% 하락했다고 본 기업은 6.5% 수준이었다. 이를 종합하면 국내 원전 산업의 경쟁력은 탈원전 이전의 65% 수준이라는 해석이다. 기업들은 원전 산업이 경쟁력을 회복하는데 약 3.9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애로 사항으로는 ‘전문인력 부족’이라는 답변이 35.7%로 가장 많았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원자력 관련 학과 재학생 수는 2165명으로 2017년(2777명)보다 22.0% 감소했다.
운영자금 부족(30.4%), 협력업체 사업 포기로 인한 공급망 악화(17.9%), 차세대 기술확보 수준 미흡(12.5%)을 문제로 꼽는 의견도 많았다.
기업들은 탈원전 정책의 영향으로 사업성 저하로 인한 수익성 악화(54.8%), 인력 이탈로 인한 전문성 약화(29.0%)를 꼽았다. 연구·개발(R&D) 중단 및 기술 수준 저하(9.7%), 밸류 체인 경쟁력 약화(3.2%) 영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전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해서는 조속한 일감 공급(46.9%)이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다. 원전 착공 관련 인허가 규제 개선(28.1%), 금융부담 완화(17.2%), 한계기업 지원(7.8%) 등을 호소하기도 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 7월 유럽연합(EU)의 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에서 원전이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된 이후 한국판 K-택소노미에도 원전의 친환경 에너지 포함이 확실시되고 있다”며 “글로벌 원전 산업의 높은 성장세로 수출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원전 생태계를 조속히 회복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한 푼도 없어”…계좌 공개 하루 만에 400만원 ‘훌쩍’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54세 늦둥이' 박수홍 "오래오래 살아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사…첫 여성 병무청장 포함 ‘실무형 전면 배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무상증자’ 현대바이오 상한가, FDA 허가 신청에 HLB생명과학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