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에 뒤통수 맞은 현대차… 한국GM도 덩달아 ‘불안’
105억달러 투자 약속에도 美 보조금 대상 제외
학계 “조속한 노사 합의 통한 전략 변경 필요”
전기차 배정 필요한 한국GM도 영향 받을지 주목

역대급 투자 선물에 보답은 ‘패싱’
당시 한국을 찾은 바이든 대통령은 “정 회장과 현대차그룹에 감사하다”며 “80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과 근로자 및 사업자들의 경제적 기회 등이 기대된다”고 감사의 뜻을 표했다.
하지만 지난 16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서명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해당 법안에 따라 올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는 북미에서 최종적으로 조립이 완료된 제품으로 한정됐다. 미국 현지에 전기차 생산시설이 없는 현대차는 당분간 세제 혜택을 받지 못한다.
아이오닉5와 EV6 등으로 미국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섰던 현대차그룹 입장에서는 악재다. 시장조사업체 Canalys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올해 상반기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3만3556대를 판매했다.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가 선전한 덕분이다. 이 기간 현대차그룹은 테슬라(25만9790대) 다음으로 많은 전기차를 미국 현지에 판매했다. 미국의 토종 자동차 브랜드 포드(2만2979대), 제너럴 모터스(7674대)보다 많은 수치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교수는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으로 보조금 대상에서 아이오닉5, EV6가 제외됐다”며 “앞으로 2년 정도는 해당 모델을 팔지 못한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지 생산 계획을 앞당겨야 한다.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라인을 전환하는 작업은 빠르면 6개월 내로 가능하다”며 “내년에는 전기차 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며 “문제는 노사간 합의다. 이를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단체협약에 따라 특정 모델의 생산시설을 이전하기 위해 노조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

한국GM은 전기차 배정 가능한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으로 또 다른 국내 완성차 업체인 한국GM의 미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까지는 한국GM이 차세대 모델을 성공적으로 론칭하고, 경영정상화를 이뤄낼 경우 새로운 전기차 배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다. 실판 아민(Shilpan Amin) GM 수석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 사장은 지난달 미국 미시간주 워런에 위치한 GM 밀포드 프루빙 그라운드(Milford Proving Ground)에서 한국 취재진과 “(전기차)생산 및 시기 등을 포함한 모든 제반 요소를 검토 중에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바이든 정부의 이번 인플레이션 감축법 통과로 사실상 국내 전기차 생산물량 배정 가능성이 희박해지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해당 법안이 최근 교착상태에 빠진 한국GM 노사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 한국지엠 노동조합은 전기차 생산물량의 국내 배정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물론 미국 외 지역에 대한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앞서 유럽 시장에서 쉐보레 브랜드 철수, 오펠 브랜드 매각 등을 통해 발을 뺀 GM이지만 최근 재진출 의사를 밝힌 상태다. 내연기관에서 전동화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GM은 기존 진출국 외에 유럽,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이스라엘 등 글로벌 시장에도 전기차를 출시하는 안에 대해 검토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든 정부의 이번 법안은 FTA 무효화뿐 아니라 유럽, 동남아 등 다른 국가의 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며 “내연기관에서 전동화로의 전환이 이미 예정된 상황에서 완성차 업계의 고민이 깊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완 기자 anew@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尹이 쏘아 올린 '통신3사' 담합 과징금...억울한 통신 3사, 왜?
2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3'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4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5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6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7"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8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9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