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대한민국 100대 기업 CEO] 59세 서울대, 경영학과 출신이 주류
SKY 졸업자 중 서울 출신 많아, 5060 전체의 88% 달해
최고령은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 여성 CEO는 단 1명
![](/data/ecn/image/2022/08/29/ecna8c524b6-b918-47ff-9062-6decbf58d775.jpg)
서울에서 태어나 경영학을 전공한 50대 후반이 국내 100대 기업 CEO의 전형이었다. 1947년생인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이 최고령 CEO로 이름을 올렸다. 1948년생 박찬구 금호석유 회장이 뒤를 이었다. 오너일가가 아닌 전문경영인 중에서는 1951년생 권오갑 HD현대 회장이 가장 고령이었다. 김정남 DB손해보험 사장도 1952년생으로 전문경영인 중에서는 두 번째로 나이가 많았다.
![](/data/ecn/image/2022/08/29/ecnb6e58f3d-3bd0-4af5-8294-6517dd1e53ad.jpg)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 유일한 30대
40대 CEO는 6명, 70대 이상은 5명이었다. 다만 40대 CEO 6명 중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를 제외한 4명은 모두 오너 2~3세였다.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 구광모 LG 회장, 윤근창 휠라홀딩스 사장, 최윤범 고려아연 부회장 등이 경영승계형 CEO다. 전문경영인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1983년생이다. 최 대표는 100대 기업 중 유일한 여성 CEO였다. 30대도 있다. 그 주인공은 1983년생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으로 그의 나이는 39세다.
![](/data/ecn/image/2022/08/29/ecnd260134d-f4d7-407a-a3e3-ff1b8e04189e.jpg)
출신 대학(학부 기준)에선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이른바 SKY 출신이 강세를 보였다. SKY 출신은 모두 51명으로 100명 중 절반이 넘었다. SKY 51명 중에선 서울대를 졸업한 CEO가 25명으로 가장 많았다. 고려대와 연세대는 각각 17명, 8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SKY 다음으로는 성균관대와 서강대가 각각 3명으로 뒤를 이었다. 부산대는 4명, 경북·영남대는 각 2명을 기록했다. 해외 대학 출신은 20명에 달했다.
전공별로는 예상대로 경영학도가 가장 많았다. 경영학과를 졸업한 사람은 27명으로 전체의 4분의 1을 넘는다. 고려대·연세대 경영학과 출신이 5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대 경영학과(4명)가 뒤를 이었다. 경영학에 이어서는 경제학(11명), 화학(10명) 순으로 많았다. 삼성물산 , 효성티앤씨, SK가스, 효성첨단소재 사장 등에 모두 화학 전공자가 CEO를 맡고 있다. 4번째로 많은 전공은 기계공학(8명)이며, 법학(7명), 전자공학(5명) 순이었다.
김성희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내가 명절에 못 간 이유”...설연휴 SRT 예매 매크로 사용자 수사의뢰
2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 "2026 WBC, 나이 제한 없이 최정예 멤버 구성"
3코리안리거, MLB 적응하려면 '이것'부터 바꿔야
4김송 “구강암 아닐 거라고”…건강 호전
5트럼프 리플 언급에 XRP 급등...4000원선 눈앞
6“집중 되겠냐”vs“개인 자유”.. 크롭티 입은 女강사에 갑론을박
7애플, 새 보급형 모델 ‘아이폰 16e’ 출시...가격 99만원부터
8올해 가상자산 포인트는 ‘기관 투자자’...코빗 리서치센터
9‘200번째 LNG선’ 인도한 한화오션...세계 최초 기록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