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출산율 1위는 세종, 꼴찌는 서울”…출생아 수 26만명으로 최저 [그래픽뉴스]

통계청이 공개한 '2021 출생 통계' 자료
출생아 수 26만600명으로 역대 최저치
반면 30대 후반, 40대 초반 여성 출산율은 증가

 
 
지난해 출산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도 26만명대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8월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600명으로 전년보다 1만1800명(-4.3%) 감소했다.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20대 후반 여성의 출산율(27.5명)이 3.1명 감소해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전체 연령 가운데 출산율이 가장 높은 30대 초반 여성(76.1명)도 1년 새 출산율이 2.9명 감소했다.
 
반면 30대 후반(1.2명), 40대 초반(0.5명) 등 35세 이상 여성 출산율은 오히려 늘었다. 특히 40대 초반 여성의 출산율은 7.6명으로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3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도 33.4세로 올라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또 지역별로 보면 출생아 수는 광주와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시도별 출산율은 세종(1.28명)이 가장 높았다. 전남(1.02명)도 출산율이 1명을 넘겼다.
 
반면 서울 출산율은 0.63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평균 출산 연령 역시 서울이 34.2세로 가장 높았으며, 첫째 아이를 낳기까지 걸리는 평균 결혼생활 기간도 서울(2.7년)이 가장 길었다.
 
출생아 중 첫째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서울(63.7%)이, 반대로 셋째 이상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주(12.9%)가 가장 높았다.
시군구 단위로는 전국 228개 모든 시군구의 합계 출산율이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대체 출산율(2.1명)을 밑돌았다. 합계 출산율이 1명 이상인 시군구도 62개에 그쳤다.
 
특히 부산 중구(0.38명)는 전국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았다. 시군구 출산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 영광군(1.87명)이었다.
 
평균 출산 연령은 서울 서초구가 34.7세로 높았고, 강원 화천군은 30.3세로 낮았다. 출생아 수 자체는 경기 화성시와 수원시에 가장 많았다. 이외 출생아 수 상위 10개 지역 가운데 7개 시군구가 경기 지역에 분포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中 부동산 한파에 결국...블랙록 '상하이 빌딩' 34% 싸게 내놨다

2'산불 피해 기부액' 100억 내놓은 애터미 화제...어떤 기업이길래

3'결혼식 입장' 방식 물었더니..."신부 단독 입장하고 싶어요"

4비트코인 지고 ‘이것’ 뜨나...‘최고점’ 이미 뚫었다

5크래프톤, '인도 게임 개발사' 지분 인수한 이유

6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급증… 부상자 1670명

7포스코, 제강슬래그 활용 아스팔트 도로포장 상용화

8국내 기름값 7주 연속 하락...평균 1669.8원

9"한우가 반값"...롯데마트 27주년 맞아 '쇼핑 대축제' 연다

실시간 뉴스

1中 부동산 한파에 결국...블랙록 '상하이 빌딩' 34% 싸게 내놨다

2'산불 피해 기부액' 100억 내놓은 애터미 화제...어떤 기업이길래

3'결혼식 입장' 방식 물었더니..."신부 단독 입장하고 싶어요"

4비트코인 지고 ‘이것’ 뜨나...‘최고점’ 이미 뚫었다

5크래프톤, '인도 게임 개발사' 지분 인수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