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갈수록 빚으로 버틴다…2분기 산업별 대출금 68.4조↑
한은 ‘2022년 2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발표
산업별대출금 1713조1000억원
물가·환율 상승 등 기업의 자금 조달 필요성 커져
올해 2분기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이 역대 두 번째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글로벌 공급차질 심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지속 등으로 자금 조달이 필요해졌고, 코로나 금융지원에 따른 자금 공급 등이 영향을 줬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2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에 따르면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 잔액은 1713조1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68조4000억원 증가했다.
증가 폭은 1분기 63조9000억원보다 확대됐고, 증가액은 역대 최대치인 2020년 2분기의 69조1000억원과 비슷해졌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증가폭이 전 분기 대비 축소된 반면, 서비스업은 확대됐다. 제조업 대출 증가 규모는 1분기 13조2000억원에서 2분기 10조9000억원으로 감소했다. 환율과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원자재 수입 업종을 중심으로 대출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반기 말에 기업들이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부 대출을 상환한 결과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을 중심으로 대출 증가 폭이 1분기 46조4000억원에서 2분기 48조1000억원으로 확대됐다. 금융·보험업의 경우 6조3000억원에서 7조4000억원으로 확대됐는데, 이는 예금은행의 비은행금융기관 대출이 증가한 영향이다.
부동산업도 같은 기간에 13조3000억원에서 13조4000억원으로 증가했는데 상업용부동산 투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도·소매업은 11조8000억원에서 11조7000억원으로, 숙박·음식점업은 2조5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축소됐다. 한은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업황이 다소 개선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용도별로는 운전자금 증가 폭이 41조9000억원에서 44조원으로 확대됐다. 원자재 조달 자금 수요가 커지고, 시설자금에서 상업용 부동산 관련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업권별로는 예금은행의 증가폭이 28조1000억원에서 36조2000억원 증가한 반면, 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35조8000억원에서 32조200억원으로 줄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들이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대출태도를 강화한 영향이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삼성전자 HBM 승인 위해 최대한 빨리 작업 중”
2‘꽁꽁 얼어붙은’ 청년 일자리...10·20대 신규 채용, ‘역대 최저’
3'로또' 한 주에 63명 벼락 맞았다?...'네, 가능합니다', 추첨 생방송으로 불신 정면돌파
4LG·SK·GC…국내 바이오 산업 네트워크 이곳으로 통한다
5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6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7“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8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9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