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한국서도 흔해진 슈퍼리치...‘700억 자산가’ 세계 11번째로 많아 [그래픽 뉴스]
- 20일, 크레디트스위스 ‘글로벌 부 보고서’ 공개
한국 백만장자 2020년 대비 11만 명 이상 늘어
코로나19 회복기 자산 가치 급등 영향으로 분석

보유 자산을 기준으로 한 ‘글로벌 톱 1%’에 들어가는 한국 성인은 104만3000명, ‘글로벌 톱 10%’에 속하는 성인은 1848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또 한국은 순 자산이 5000만 달러 (약 696억원)가 넘는 초고액 자산가(UHNW)가 미국, 중국, 독일, 캐나다, 인도, 일본, 프랑스, 호주, 영국, 이탈리아에 이어 세계에서 11번째로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말 기준 한국 성인 1명당 평균 자산은 23만7644달러(약 3억3116만원), 자산 중간값은 9만3141달러(약 1억2979만원)로 추산됐다.
보고서는 세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대유행에서 회복하는 과정에서 자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지난해 전 세계 초고액 자산가(UHNW) 수가 26만4200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2020년 말 21만8200명을 기록했던 데서 4만6000명 넘게 늘어난 것이다. 2020년 초고액자산가 수도 2019년보다는 4만3400명 많은 것이었다. 결국 이는 지난 2년에 걸쳐 세계 초고액자산을 보유한 성인 수가 50% 넘게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은 자산가 증가세는 앞으로도 전 세계적으로 계속될 전망이다. 한국의 경우 2026년에는 129만명에서 60% 늘어난 205만9000명이 백만장자가 될 것으로 관측됐다. 미국과 중국, 일본에서도 각각 13%, 97%, 42%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자산가의 급증과 함께 부의 편중 현상도 심화하고 있다. 상위 1% 부유층이 차지하고 있는 자산은 2020년 전체의 44%에서 지난해 46%로 늘어났다. 상위 10%로 보면 이들의 부는 전체 자산의 8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재민 기자 (song@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렇게 얇은 폰은 처음!"…갤S25 엣지, 슬림폰 열풍 일으킬까[잇써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우승 위해 떠난 게 아닌 남은 선수’ SON 향해 현지 매체도 찬사 “벽화로 기려져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렇게 얇은 폰은 처음!"…갤S25 엣지, 슬림폰 열풍 일으킬까[잇써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모태펀드 존속 불확실성 해소될까…이재명 공약에 업계 주목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지투지바이오, 특허무효심판 피소…상장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