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 빅스텝…은행권 예·적금 금리 인상 릴레이 이어질 듯
금리 4%대 후반에서 5% 돌파할 듯…은행으로 자금 몰리는 ‘역머니무브’ 우려

지난 12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2.5%에서 3.0%로 상향 조정했다. 기준금리가 3%대로 올라선 것은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이다.
한은이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하자 주요 시중은행들도 예·적금 등 수신상품 금리를 최대 1.0%포인트 올리며 대응하고 나섰다.
먼저 우리은행은 19개의 정기예금과 27개의 적금 금리를 13일부터 최대 1.00%포인트 인상한다.
예금상품은 비대면 전용 '우리 첫거래 우대 정기예금'을 최고 연 3.80%에서 최고 연 4.80%로 1.00%포인트 인상하며, 그 외 다른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는 0.30~0.50%포인트 인상한다.
적금의 경우 '우리 페이 적금', '우리 Mgic적금 by 롯데카드'를 1.00%포인트 인상하며 그 외 대부분의 적금상품 금리를 0.30~0.80%포인트 인상한다.
NH농협은행은 오는 14일부터 수신금리를 최대 0.70%포인트 올릴 예정이다. 거치식예금 금리는 0.50%포인트, 적립식예금은 기존보다 0.50~0.70%포인트 상향 조정된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도 조만간 예·적금 금리 인상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 시중은행들은 기준금리가 인상될 때마다 한 두곳이 선제적으로 예적금 금리를 올렸고 이후 나머지 은행들도 동참하는 모양새를 보여왔다. 특히 최근 예대금리차 공시가 정례화되면서 은행간 금리 경쟁은 더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기준금리가 3%대로 올라선만큼 조만간 5%대 예·적금 금리 상품도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시중은행들의 예·적금 금리는 4% 중후반대다. 12일 이창용 한은 총재는 “현재와 같은 고물가 상황이 이어지면 기준금리를 더 올리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금융업계에서는 향후 기준금리가 더 오르면 5%를 넘어 6%대 상품도 나올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은행 예·적금으로 자금이 쏠리는 ‘역머니무브’ 현상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지난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760조5044억원으로, 전달보다 30조6838억원이나 증가했다. 예·적금 금리 인상 행진이 이어지면 주식이나 펀드, 부동산으로 향했던 뭉칫돈이 은행으로 더욱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훈 기자 jhoo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21일 尹재판…18일 20시부터 서초동 법원 車 출입불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태연, 日 도쿄 공연 이틀 앞두고 돌연 취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예견된 허가 불발…녹십자 국산 결핵백신 사업, 결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