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 36.4% "취업준비기간 ‘1년 이상’ 길어질 것"

구직 활동에 대해 의례적으로 하고 있다고 밝힌 응답자가 31.8%, 거의 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26.7%였고, 쉬고 있다고 답한 청년도 7.3%에 달했다. 사실상 구직활동을 포기한 셈이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의 역량, 기술, 지식 등이 부족해 더 준비하기 위해(49.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38.8%는 일자리 부족을 꼽았다. 일자리 부족으로 적극적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과 관련해서는 구직활동을 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 같아서(14.5%), 전공 또는 관심 분야의 일자리가 없거나 부족해서(14.5%), 적합한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을 갖춘 일자리가 없거나 부족해서(9.8%)라고 답한 응답자가 많았다.
반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16.0%였다. 올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고 답한 대학생들은 평균 6.7회 입사 지원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서류전형 합격 횟수는 평균 2.4회로 서류전형 합격률이 평균 35.8%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입사지원 횟수가 1~5회(61.2%), 6~10회(19.7%), 11~15회(10.2%), 16~20회(4.8%), 21~25회(3.4%), 26회 이상(0.7%) 순이었다.
대학생 66.3%는 취업준비 기간으로 ‘6개월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가운데 ‘1년 이상’일 것으로 예상한 응답자 비율은 36.4%에 달했다. 취업준비 과정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경력직 선호 등에 따른 신입채용 기회 감소(28.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원하는 근로조건에 맞는 좋은 일자리 부족(26.0%), 체험형 인턴 등 실무경험 기회 확보 어려움(19.9%), 물가 급등에 따른 취업준비 비용 부담 증가(13.9%)를 언급한 답변도 뒤를 이었다.
대학생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으로는 대기업(20.4%), 중견기업(19.0%), 공사 등 공기업(17.8%), 정부(공무원)(16.2%), 중소기업(11.9%), 벤처‧스타트업(7.0%) 순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실제로 취업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에 대한 질문에는 중소기업(28.3%), 중견기업(21.9%), 정부(공무원)(14.7%), 공기업(11.1%), 벤처‧스타트업(9.0%), 대기업(7.9%)이라고 답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대다수의 청년 구직자들이 1년 이상 장기간 취업 준비를 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사실상 구직을 단념한 청년 비중이 65.8%에 달하는 등 청년들이 체감하는 취업시장엔 벌써 겨울이 다가왔다”며 “규제 완화 등 기업 고용여건을 개선해 청년들이 선호하는 양질의 민간 일자리를 창출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민석 임명동의안 가결, '위대한 대통령의 시대 열겠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주4.5일제 시작될 시점은?” 질문에 대답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