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기업 2곳 중 1곳 “세계 각국, 경제 안보 강화…실적 악화 우려”
- 전경련, 기업 경제안보 인식 영향 조사
협력 필요 국가 1위는 미국, 2위 중국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주요 기업 경제안보 인식 및 영향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150개 기업이 응답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0.0%는 최근 글로벌 경제안보 강화 움직임이 매출액, 영업이익 등 회사의 경영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매우 부정적 2.7%, 다소 부정적 47.3%)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실적에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4.0%로 집계됐다.
응답 기업의 49.4%는 경제안보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나라의 인식 수준이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낮은 수준(매우 낮음 4.7% 다소 낮음 44.7%)이라고 평가했다. 비슷한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기업은 43.9%,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응답은 6.7%였다.
세계 각국의 경제안보 움직임에 대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대처는 선진국 대비 부족하다고 평가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의 52.7%가 부족하다(매우 부족 4.0% 다소 부족 48.7%)고 느꼈고 44.6%가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기업들은 전 세계적 경제안보 움직임이 강화될 경우 ‘외환·자본 시장 등 금융환경 불안정성 확대(40.7%)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출규제 등 공급망 악화(21.0%)’, ‘보호무역주의 확산(11.9%)’에 대한 우려가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정성 확대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미·중 갈등, 글로벌 공급망 악화 등 경제안보 문제가 지목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가별 첨단산업 보호, 수출입·투자 규제 강화 등 움직임이 강화될 경우, 금융시장의 불안이 상당 기간 지속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제안보 시대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 우리나라가 긴밀히 협력해야 할 국가로는 1위가 미국(86.6%) 2위가 중국(10.7%) 순이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각국의 산업 보호 정책으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은 단기적으로 적응 비용을 치를 가능성이 높다”며 “경제안보 시대에도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환·자본시장 등 금융 환경 안정과 지속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삼성바이오에피스-한미약품, 골다공증 치료제 국내 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명수 “정신과 가끔 간다, 내과보다 붐벼” 고백 (라디오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러다 중국이 가장 먼저 탄소중립?' 농담 나오는 이유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신평 3사, 롯데지주·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일제히 강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4연상했던 에이비온, 29.75% 급락한 사연…유틸렉스 ‘강세’[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