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국내 배터리 3사, 세계 점유율 56% 차지…中 약진 두드러져
- LG엔솔, 30.1%로 1위…SK온·삼성SDI는 4·5위
CATL, 파나소닉 제치고 2위…유럽시장서 두각

7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의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글로벌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 점유율은 총 56%로 전년 동기(55.8%) 대비 0.2%p 상승했다.
업체별로 보면 LG에너지솔루션이 30.1%로 1위를 기록했다. SK온과 삼성SDI는 각각 14.6%, 11.3%를 기록해 4위, 5위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배터리 3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선방할 수 있었던 것은 각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이어진 덕분이다.
실제 LG에너지솔루션은 주로 폭스바겐 ID.4와 테슬라 모델3/Y, 포드 머스탱 마하-E 등의 꾸준한 판매량에 따라 성장세를 이어갔다. SK온은 현대 아이오닉5와 기아EV6의 높은 인기를 이어가고 있으며 아이오닉6 등 신차 효과까지 톡톡히 봤다. 삼성SDI는 아우디 이트론 라인업, BMW i라인업, 피아트 500, 지프 랭글러 PHEV 등의 판매 호조가 성장세를 견인했다.
CATL을 비롯한 중국 업체들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특히 기존 강자인 일본 기업들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실제 CATL은 테슬라 모델3(중국산유럽, 북미, 아시아 수출 물량)를 비롯해 메르세데스 벤츠 EQS, BMW iX3, Mini 쿠퍼 등의 순수 전기차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약 2.1배 가까이 성장한 결과 2위에 올랐다. 신왕다(Sunwoda)도 유럽에서 르노 그룹의 다시아 '스프링 일렉트릭’의 판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8위에 올랐다.
반면 일본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장률을 보였다. 파나소닉과 PEVE, LEJ 등 일본 업체들의 점유율은 지난해와 비교해 감소했다.
SNE리서치는 “지난해에 이어 2022년 1~9월 비(非)중국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1위 자리를 유지했다”며 “CATL과 신왕다와 같은 중국 업체들의 폭발적인 성장세로 한국계 3사와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이건엄 기자 Leeku@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국힘 "김문수 후보선출 취소·한덕수 후보등록 진행"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영원한 뽀빠이' 안녕히…이상용 향년 81세 별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국힘 "김문수 후보선출 취소·한덕수 후보등록 진행"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기네스는 따놓은 당상” 이수앱지스, 이라크 공급 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