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예금 금리, 그만 올려”…정기예금 5%대에서 멈추나
당국, 금리 인상으로 ‘자금확보 경쟁’ 자제 권고
대출금리 인상 속도 및 2금융권 자금조달 어려움↑
은행권, 10월에만 56조 자금 유치…내년 이자비용 급증 불가피

금융당국 수신금리 인상 과당경쟁 자제 권고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시장 현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금융권의 과도한 자금확보 경쟁은 금융시장 안정에 교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업권 내 과당경쟁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날인 24일엔 이복현 금감원장이 “금융사의 유동성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서 수신금리 과당 경쟁에 따른 자금 쏠림이 최소화되도록 관리 및 감독을 강화해 달라”고 주문했다.
23일에는 금융위와 금감원이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권 자금흐름(역머니무브) 점검·소통 회의’를 개최하고 업권 내의 과도한 수신금리 인상 경쟁이 ▶대출금리 추가 상승 ▶제2금융권 자금조달 어려움 가중 등을 유발한다며 금리 경쟁을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은행권 정기예금 금리는 빠르게 높아졌다. 현재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연 최고 금리는 ▶농협은행의 ‘NH올원이(e)예금’ 5.10% ▶하나은행의 ‘하나의 정기예금’ 5.00%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 4.95% ▶KB국민은행의 ‘KB 스타(Star) 정기예금’ 4.28% 등을 기록하고 있다.
은행권 내년 하반기로 갈수록 이자비용 수조원대

10월에 증가한 정기예금 잔액 56조원이 보통 1년 만기로 묶여 있는데, 내년 10월에 은행이 지급해야 하는 이자비용은 연 4.5%로 계산한다고 해도 2조5200억원에 달한다. 올해 하반기 들어 정기예금 잔액이 매달 20~30조원씩 증가했고, 연말로 갈수록 증가액이 더 커지는 분위기라 금리 경쟁을 멈추지 않으면 은행 입장에서 내년부터 수익성이 낮아지는 상황이다.
반면 금리가 거의 없는 수시입출식예금 잔액은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96조8000억원 크게 감소했고, 여기에다 은행채 발행도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가계대출까지 감소하고 있어 수신금리 경쟁이 가중될 수록 은행의 비용만 높아지는 구조가 굳어지는 셈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당국이 금리 인상 자제를 당부하고 나서면서 정기예금 금리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높은 금리로 인해 유입되는 과도한 자금도 은행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2“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3‘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4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5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6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7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8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9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