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상위 20% 자산 16억5000만…하위 20%보다 64배 높아 [그래픽 뉴스]

통계청, 지난 3월말 기준 하위 20% 평균 자산 2584만원
상위 20% 평균 자산 16억5457만원과 64배 차이
순자산 불평등도 보여주는 지니계수 10년만에 최고

 
 
 
올해 자산 상위 20% 가구와 하위 20% 가구 간의 자산 격차가 역대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의 불평등도를 보여주는 순자산 지니계수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7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자산 상위 20%(자산 5분위) 가구의 자산은 평균 16억5457만원이었다. 이는 하위 20%(자산 1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 2584만원의 64배에 이르는 규모다.
 
상위 20%와 하위 20%의 자산 격차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2년 이후 최대다. 부동산 시장이 호황을 이루면서 관련 자산의 비중이 높은 상위 20%의 자산이 더 많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가계금융복지조사 비교 시점인 2021년 3월부터 지난 3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 가격은 7.47% 상승했다. 상위 20%의 경우 자산이 1년 전보다 1억3769만원(9.1%) 늘었다. 이중 부동산이 1억2853만원(10.7%) 증가해 대부분을 차지했다.
 
분위별로 부동산 자산을 보유한 가구 비중을 보면 5분위 중에서는 98.6%가 부동산 자산을 보유했다. 상위 20% 대부분이 부동산을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반면, 1분위는 10.1%에 그쳤다.
 
1분위의 자산은 1년 전보다 13만원(0.5%) 줄었다. 부동산 자산이 9.3% 감소하는 등 분위 가운데 유일하게 전체 자산이 줄었다. 이는 젊은 세대의 1인 가구가 많이 늘어난 결과라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가구를 기준으로 집계하는 가계금융복지조사 특성상 자산을 적게 가진 사회초년생 등이 취업 등을 이유로 독립하면서 새로 1분위에 편입되는 경우가 늘었다는 것이다.
 
불평등도를 측정하는 순자산 지니계수는 0.606이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2년(0.617)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도가 높다는 의미다.

김채영 기자 chaeyom@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족발야시장, 프랜차이즈 가맹점 생존율 90% 이상 기록

2KGM, 체리자동차와 맞손…중∙대형급 SUV 공동 개발한다

3 '25시간 4분' 화장실도 안 가...68년 만에 美 기록 경신

4비티진, 특이진세노사이드 화장품 '공후하' 가수 이찬원과 함께하는 새로운 광고 온에어

5인천 ‘공급부족’ 현실화… 내 집 마련 막차 단지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 랜드마크 자리매김

6블랙핑크 제니가 픽한 ‘이 과자’, 50년 만에 후속작 탄생

7현대카드, 개인사업자 프리미엄 카드 '마이 비즈니스 서밋' 출시

8미래에셋증권 WM강남파이낸스, ‘채권 투자와 예술의 만남’ 개최

9KB증권, 실전투자대회 ‘투자마스터즈 2025’ 개최

실시간 뉴스

1족발야시장, 프랜차이즈 가맹점 생존율 90% 이상 기록

2KGM, 체리자동차와 맞손…중∙대형급 SUV 공동 개발한다

3 '25시간 4분' 화장실도 안 가...68년 만에 美 기록 경신

4비티진, 특이진세노사이드 화장품 '공후하' 가수 이찬원과 함께하는 새로운 광고 온에어

5인천 ‘공급부족’ 현실화… 내 집 마련 막차 단지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 랜드마크 자리매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