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연장·이자 유예에도 속수무책…부실징후기업 코로나 이후 최다
금감원 정기신용평가…부실징후기업 185개사, 전년비 25개 증가
올해 법정관리를 받아야 하는 부실징후기업 수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코로나19가 터진 후 기업들을 위해 대출만기 연장, 이자상환 유예 지원 등을 실시했지만 경영악화를 막을 수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부실징후기업에는 대기업도 두 곳 포함됐다.
금융감독원이 19일 발표한 '2022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계획'에 따르면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된 회사는 185개사로 전년보다 25개 증가했다. 세부평가를 받은 3588개 가운데 5%가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됐다.
신용위험평가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에 따라 채권은행들이 부실징후기업을 판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다.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과 500억원 미만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매년 한 차례씩 재무위험, 영업위험 등을 평가해 부실징후기업을 선별한다. 평가등급(A, B, C, D)에 따라 C등급과 D등급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되며 C등급은 채권단의 워크아웃, D등급은 법정관리 등 회생절차 대상으로 나뉜다.
C등급을 받은 회사는 84개, D등급은 101개로 전년보다 각각 5곳, 20곳 늘어났다. 규모별로는 대기업 2개, 중소기업 183개였다. 대기업은 전년보다 1개 줄어들었지만 중소기업은 26개 추가됐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업이 20개로 가장 많았고, 금속가공 16개, 부동산 15개 도매·상품중개 13개 순이었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출만기 연장, 이자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이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부실징후기업 수가 늘어난 것이다. 2019년 210개였던 부실징후기업은 2020년 코로나19 금융지원 이후 157곳으로 줄었다가 올해 185곳으로 증가했다.
금감원은 코로나19 금융지원에도 불구하고 경제 복합위기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악화 탓에 부실징후기업 수가 늘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3분기까지 81조6000억원이었던 상장사 영업실적이 올 3분기에는 69조7000억원으로 14.7% 감소했다. 기업 규모별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대기업의 경우 지난해 2분기 7.7%에서 올 2분기 7.4%로 떨어졌다. 중소기업의 경우 같은 기간 6.4%에서 5.8%로 하락했다.
금감원은 워크아웃 신청기업인 C등급 기업에 대해 기업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채권단 금융지원으로 경영정상화를 돕는다.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정상기업은 B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을 통해 자체 경영개선을 지원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유관기관의 기업지원 제도에 은행권 참여를 확대해 금융지원 외 사업구조 개편, 진로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을 동시에 가동할 것"이라며 "기업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신용위험평가 실효성을 높이고 제도 개선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김정훈 기자 jhoo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그라비티 3분기 영업익 276억원…전년比 27.3%↓
2"올해 연말정산은 얼마 받지?"...15일부터 '이것'으로 간편하게 확인한다
3하이트진로 3분기 영업익 702억원…전년대비 61.5% 증가
4동양생명, 3분기 순이익 2657억원 시현…전년比 22.2% ↑
5교보생명, 친환경 실천 캠페인 통해 숲 운동장 조성
6핀트, 연금저축 투자일임 가입금액 로보어드바이저(RA) 전체 1위
7KB국민카드. 국가고객만족도(NCSI) 신용·체크카드 부문 동시 1위
8드레이푸스 칠리즈 CEO, UDC 2024 핵심 연사 참여
9삼성화재, 자동차보험과 장기보험 연계보상·청구대행 서비스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