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스웨디시 감성이란 이런 것…“볼보 S60, 무난해서 더 매력적”

[시승기] 볼보 S60
D세그먼트 시장서 다크호스로 주목
고급 소재에 실용성까지 두루 챙겨

 
 
 
볼보 S60. [이건엄 기자]
볼보 S60이 BMW 3시리즈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등 독일 브랜드가 꽉 잡고 있는 프리미엄 D세그먼트 세단 시장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며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안전함의 대명사 볼보라는 브랜드 가치에 스웨디시 감성을 더해 인기가 상당하다. 특히 올 하반기 출시한 연식 변경 모델에는 T맵 오토를 비롯한 편의사양이 대거 추가되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S60은 무난함이 매력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호불호를 타지 않는 디자인을 갖고 있다. ‘토르의 망치’로 대표되는 볼보의 익숙한 패밀리룩이 그대로 적용됐고, 전반적인 디자인 큐 역시 역동성보다는 무난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혹자는 재미없는 디자인이라 평가할 수 있지만 볼보가 헤리티지를 극대화하고 만족감 높은 디자인을 추구하는 프리미엄 브랜드라는 점을 고려하면 큰 단점으로 보기에는 어려워 보인다.
 
오히려 세부적으로 보면 S60의 매력은 경쟁 차량 대비 절대 뒤처지지 않는다. 이는 볼보가 디테일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는 것을 방증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실제 ‘토르의 망치’로 불리는 전면부 주간주행등(DRL)은 세대를 거듭하며 다듬어지면서 전면부 디자인과 균형을 이뤄 안정감을 줬다. 여기에 라디에이터 그릴을 가로지르는 볼보의 로고가 절묘하게 어우러지면서 패밀리룩을 완성했다. 특히 그릴의 테두리와 세로선, 안개등 몰딩을 크롬으로 장식해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볼보 S60. [이건엄 기자]
S60의 진가는 측면 실루엣에서 드러난다. S60은 분명 전륜구동 차량이지만 짧은 오버행과 긴 휠베이스 등 후륜구동 차량의 특성이 가득하다. 덕분에 S60은 무난한 디자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역동성 있는 실루엣을 뽐낸다. 이는 S60에 적용된 SPA 플랫폼 덕분으로 볼보는 이를 통해 휠 베이스와 오버행, 전고 등 기존 플랫폼이 지닌 설계상 한계를 뛰어넘는 데 성공했다. 후면부 디자인도 볼보 특유의 리어램프가 브랜드 정체성을 잘 드러낸다. 
 
실내로 들어오면 최고급 세단을 방불케 하는 고급스러운 디자인이 운전자를 맞이한다. 북유럽 특유의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이 특징이다. 대시보드에는 고급소재들이 많이 사용됐는데 전체를 가로지르는 크롬 라인과 나뭇결이 살아있는 천연 소재가 조화를 이룬다. 여기에 부드러운 가죽 소재가 고급스러움을 더한다. 특히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오레포스의 유리장인 손길이 닿은 ‘크리스털’ 기어 노브다. 이제는 볼보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크리스털 기어 노브는 시각적, 촉각적 만족감을 모두 만족시킨다.
 
볼보 S60 실내 모습. [이건엄 기자]
볼보의 자랑인 인체공학적 시트는 최고급 나파 가죽이 적용돼 마치 고급 쇼파에 앉은 듯한 안락함을 선사한다. 주행 중에도 운전자의 몸을 잘 잡아줘 안정감을 배가시킨다. 특히 운전석과 조수석에 적용된 안마 기능은 장시간 운전 시 피로해소에 도움이 된다.  
 
전반적인 내부 공간도 후륜 구동 기반의 경쟁 차량 대비 우위에 있다. 후륜구동과 같은 역동적인 실루엣은 물론 전륜 구동의 넓은 실내 공간까지 모두 챙기며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실제 S60의 뒷좌석은 무릎 공간에 주먹 한 개 반이 들어갈 정도로 쾌적하다.
 
볼보 S60. [이건엄 기자]

프리미엄 헤리티지 극대화

연식 변경된 S60의 가장 큰 변화 점은 T맵 오토가 적용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다. S60에 탑재된 T맵 오토는 수입차 인포테인먼트에 대한 선입견을 무색하게 만들 정도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줬다. 정확한 내비게이션 서비스로 정평 난 T맵과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플랫폼 '누구(NUGU)', 음악 플랫폼 '플로(FLO)' 등이 조화를 이뤄 한국 소비자 눈높이 맞는 인포테인먼트로 탄생했다.
 
볼보 차량에 적용된 T맵 오토. [이건엄 기자]
T맵 오토를 사용하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일명 ‘아리아’로 불리는 음성인식 AI 시스템이다. "아리야!" 한 마디면 목적지 설정부터 전화 통화, 메시지 전송, 음악 재생 등 대부분의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었다. 국산차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음성인식 기능을 온전히 제공하는 브랜드가 마땅치 않은 만큼 볼보의 차별화 요소로 볼 수 있다.
 

운전자 부담 최소화한 주행성능

S60의 주행 특성은 ‘운전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다’ 한마디로 정리된다. 48V 마일드하이브리드가 적용된 파워트레인은 시내 주행, 고속주행 등 어떤 환경에서도 적절한 성능을 발휘하며 굽잇길에서의 안정감도 상당하기 때문이다. 볼보 S60은 2.0ℓ 4기통 가솔린 터보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려 최고 출력 250마력, 최대 토크 35.7㎏m를 발휘한다. 출발 시에는 스타터-제네리이터 전기모터가 13마력, 4.1㎏m의 힘을 보태준다.
 
실제 S60을 타고 도심과 외곽을 오가며 총 400㎞의 짧지 않은 시승을 진행하면서 피로감을 크게 받지 않았다. 잘 다듬어진 터보 엔진과 변속기는 과하지 않았고, 출발 시에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덕분에 오히려 경쾌했다. 여기에 이중접합 라미네이트 글래스가 1열과 2열에 새롭게 적용돼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크게 줄여줘 소음으로 인한 피로감을 덜어줬다.
 
볼보 S60. [이건엄 기자]
굽이길에서도 독일 브랜드만큼의 날카로움은 아니지만 훌륭한 코너링 성능을 보여줬다. 이전 모델 대비 개선된 서스펜션 세팅 덕분에 굽잇길을 날카롭게 파고들면서도 안정감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이같은 서스펜션 세팅은 평시 주행에서도 최적의 승차감을 제공한다. 파일럿 어시스트 단일 모드로 바뀐 운전 보조장치도 운전자의 부담을 크게 덜어준다. 앞차와의 거리를 부드럽게 조절하고 우천으로 차선이 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도 정확한 주행을 가능케 했다.
 
한편 볼보 S60은 B5 얼티메이트 브라이트(Ultimate Bright) 단일 트림으로 판매되며 가격은 5610만원이다.  

이건엄 기자 Leeku@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2‘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3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4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5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6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7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8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9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실시간 뉴스

1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2‘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3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4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5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