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올해 직원 뽑는 기업 중 70% “중장년 채용계획 있다”
- 축적된 경험·노하우(30.4%), 업무 충성심·성실도(29.3%) 높게 평가
“성실성·조직충성도 등 인성과 품성” 우선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올해 직원을 채용할 계획이 있다고 밝힌 기업 중 70%는 중장년층을 채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중소기업협력센터(협력센터)는 올해 채용계획을 세운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443사를 대상으로 ‘2023년 중소·중견기업의 중장년 채용계획 및 채용인식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40세 이상 중장년을 채용하려는 직군 가운데서는 서비스직(23.5%)이 가장 많았고, 단순노무직(16.1%), 설치‧정비‧생산직(14.3%)이 뒤를 이었다. 경영사무직(7.1%), 연구·공학기술직(5.1%)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0세 미만 근로자 채용계획이 있다고 밝힌 곳 가운데서는 경영사무직(20.0%), 영업‧판매직(18.5%)이 가장 많았다. 평균 임금수준은 월 279만원 수준이었다.
중장년을 채용하려는 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업종은 서비스·교육·컨설팅(43.5%) 업종으로 종업원 수 10~50명 미만(46.3%)인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으로 조사됐다. 중장년을 채용하려는 이유로는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 전수로 직원들의 업무 역량 제고’(30.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업무 충성심과 높은 성실도로 일하는 분위기 쇄신’(29.3%), ‘매출증가․원가절감․생산성 향상 등 경영성과 개선’(12.2%)이 뒤를 이었다.
중장년 채용경험이 있는 기업은 중장년 채용 시 ‘성실성․조직충성도 등 인성과 품성’(37.0%)을 ‘과거 업무성과 및 전문지식’(19.2%)보다 우선한다고 답했다. 기존직원과 소통할 수 있는 ‘조직융화력’(18.6%), ‘이직횟수’(6.8%)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력에 맞는 임금 책정’(22.4%)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지원자 부족’(20.5%), ‘합격 후 이탈자 발생(입사 포기 및 중도퇴직)’(19.5%) 등 ‘인력 부족’도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박철한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중장년이 축적된 경험이 많고 성실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지역‧업종별 구인난 해소를 위한 채용행사와 채용연계 직무교육을 확대하는 등 고용시장 활성화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준호♥’ 김지민 “잘 살겠습니다” 결혼 감사 인사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MLB 올스타전 신기하네, 홈런 스윙오프 실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후폭풍 무서워”…고가 아파트 포기하는 계약자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