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틴, 뉴진스 노래 QR로 들어요"...낯설지만 끌리는 이 '음반' [민지의 쇼핑백]
앨범 수록곡 포함한 QR코드 음반 잇따라 발매돼
CD 없는 음반...친환경적이고 가격 저렴해 인기
디지털에 친숙한 MZ세대에겐 편리하고 합리적

[이코노미스트 라예진 기자] "이번에는 어떤 음반을 살까, CD음반은 있으니까 QR코드 사봐야지" LP, 테이프를 거쳐 CD음반을 듣는 세대가 이전 세대였다면 요즘 MZ세대는 여기에 한가지 더 추가된 음반을 구입하고 듣는다. 바로 'QR코드' 음반이다. 이 음반의 특징은 딱딱한 플라스틱이 들어있지 않다는 점. QR코드가 새겨진 종이가 음반인 것이다.
크기도, 무게도 크게 줄었다. 얼핏 보면 테이프 음반처럼 보이는 아담한 크기지만, CD나 테이프가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얇고 가벼운 무게를 자랑한다. 대부분 QR코드 음반의 구성은 가사집 종이와 가수의 사진이 담긴 포토카드(포카), 디지털 음원이 포함된 QR코드 종이가 전부다.

스트리밍 대신 QR음원 선택하는 까닭
그렇다면 MZ세대들은 스마트폰으로 음원을 들을 수 있는 멜론이나 지니, 스포티파이와 같은 스트리밍 사이트를 이용하면 훨씬 저렴한데, 이 같은 QR코드 음반을 구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크게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가장 먼저 '친환경 음반'이라는 점이다. 지난해부터 환경보호를 중요시하는 MZ세대 사이에서는 '플라스틱 CD음반을 줄여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실제 K팝 팬들로 구성된 기후 변화 위기 대응 플랫폼 단체인 'K팝포플래닛'는 지난해 4월 서울 용산에 위치한 하이브 사옥 앞에서 친환경 앨법 도입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두 번째로는 '저렴한 가격'이다. QR코드 음반은 비교적 CD음반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책정된다. CD앨범은 CD를 비롯해 두툼한 포토북, 큼직한 가사집 등 구성이 다양해 QR코드 음반보다 비싸다. 같은 뉴진스 'OMG' 앨범을 CD음반과 QR코드 음반으로 나눠 가격을 보면, CD음반은 1만7800원이고 QR코드 음반은 1만3200원이다. 다양한 버전의 포토카드를 소장하고, 팬 사인회 응모권을 얻기 위한 팬들은 음반을 다량으로 구입하는데, 이때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QR코드 음반이 비용적 부담이 적은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디지털에 친숙하지만, 좋아하는 가수의 음원 판매량'을 늘리고 싶어서다. CD나 테이프를 듣는 것보다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듣는 것에 더 친숙한 MZ세대에겐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음악을 듣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하지만 좋아하는 가수의 음반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음반을 따로 구입해야 한다.
특히 발매 후 일주일 안에 음반 판매량을 말하는 '초동'은 팬덤 사이에서 자존심 대결이기 때문에 음반 구입을 선호한다. 이때 QR코드 음반은 디지털 음원으로 편리하면서도 가수의 음원 판매량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앨범으로 통하는 것이다.
QR코드 음반 반응은 좋다. 알라딘 1월 둘째주 음반 판매량을 살펴보면 뉴진스 OMG앨범 중 CD음반이 판매 순위 4위를 기록했으나, 같은 QR코드 음반은 이보다 한단계 높은 3위를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CD 없는 앨범은 상상할 수 없었는데 이제는 CD 없는 앨범이 오히려 더 인기를 끌고 있다"며 "하지만 아직까지는 CD앨범을 구입하고, 추가적으로 궁금해서 QR코드 음반을 구입하는 팬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6"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7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8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9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