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디자이너 브랜드 전성시대”…‘100억원대 성장’ 패션업계 판도 바꾼다
온라인으로 존재감 키우는 K-디자이너 브랜드
마뗑킴·스탠드오일 등 마니아층 유지하며 인기
브랜드 인큐베이팅 기업 하고엘앤에프 지원사격

이들 브랜드의 공통점은 소비 트렌드를 이끄는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자) 마니아 고객층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성장을 이뤄내고 있다는 점이다. 온라인을 통해 확실한 ‘눈도장’을 찍고 있다는 특징도 있다.
오픈서베이 ‘MZ세대 패션앱 트렌드 리포트 2022’에 따르면 MZ세대 10명 중 9명이 온라인 채널을 통한 의류 소비를 하고 있다. 디자이너 브랜드들은 주로 D2C(직접판매)몰 및 SNS 등 온라인을 기반으로 성장을 시작하는 만큼 고객들과의 접점 확보가 더욱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오픈런’에 ‘5분만에 품절’ 신화…마뗑킴·스탠드오일 등 대박 행진

특히 12만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브랜드 디렉터 김다인 대표는 SNS를 통한 적극적인 소통으로 보다 전략적인 브랜드 마케팅을 전개 중이다. 의류, 잡화에 국한되지 않고 언더웨어, 뷰티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것 또한 성장 비결 중 하나로 손꼽힌다.
디자이너 브랜드 ‘시엔느’ 역시 특유의 감성으로 두터운 팬덤을 보유 중이다. 시엔느만의 감성을 잘 살린 제품들로 지난해보다 매출이 2배 이상 신장하며 목표 매출 100억원을 달성했다. 또한 지난해 출시 이후 4만개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패딩백’을 비롯해 ‘그랜마 스웨터’로 잘 알려진 니트류 등 시그니처 상품부터 공개 직후 5분 만에 품절되는 신상품까지 나오며 브랜드력을 키우고 있다. 시엔느는 올봄부터 남성 수요를 공략하고 가방 등 액세서리 라인을 강화하는 등 상품 다각화 전략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갈 예정이다.
합리적인 가격대와 개성 넘치는 디자인 등으로 MZ세대의 취향을 저격하는 디자이너 가방 브랜드의 성장세도 눈에 띈다. 하고엘앤에프의 자체 브랜드 ‘르아보네’는 일상에서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일리 백 브랜드로 2019년 론칭된 이래 지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르아보네는 론칭 이후 매출 100억을 돌파했다.
코자가 전개하는 ‘스탠드오일’은 ‘전공 가방’, ‘노트북 가방’ 등으로 유명해지면서 대학생부터 직장인까지 MZ세대에게 호평을 받아오며 지난해 2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브이아이앤씨의 ‘앨리스마샤’는 1020대 여성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하며 2022년 온라인 유통으로만 8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하고엘앤에프, 소규모 브랜드에 팝업스토어·백화점 입점 기회

마뗑킴 신화를 조력해 화제를 모으기도 한 디자이너 브랜드 투자 및 인큐베이팅 기업 하고엘앤에프는 신진 브랜드 성장을 위한 자체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다각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TF를 별도로 꾸리고 오프라인 확대, 마케팅, 홀세일, 해외 사업 등 보다 전략적인 컨설팅을 제공하며 이들 브랜드들의 매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단 설명이다.
하고엘앤에프의 지원으로 자사몰을 위주로 전개되던 브랜드 ‘르셉템버’는 리테일 확장 전략을 통해 고객과의 접점을 늘리며 지난해보다 매출이 200% 이상 신장했다. ‘WMM’ 역시 하고엘앤에프로부터 팝업스토어를 비롯해 백화점 단독매장 입점 등 오프라인 판로 확대에 대한 지원을 받아 150% 이상의 매출 성장세를 기록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최근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는 트렌디한 감성, 고퀄리티 의류에 대한 니즈, 합리적인 가격 등으로 MZ세대를 사로잡고 있다”며 “이들은 차별화된 다양한 매력을 무기로 기존 제도권 패션 못지 않은 의미 있는 성장을 이뤄내며 패션 업계 및 유통가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2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3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4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
5비만치료제 개발 드라이브…新치료제 개발 속도 내는 한미
6‘똘똘한 1채’ 열풍…지난해 서울 아파트 외지인 매입 역대 최고
7삼성물산, 4544억원 규모 송파 대림가락 재건축 시공사 선정
8한미약품그룹 갈등 종결…지배구조 향방 주목
9불확실의 시대, 리더는 왜 독서를 멈출 수 없는가